수문학자들은 주어진 강우패턴에 대해 유역에서 발생하는 지표 유출량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예측 관계를 개발하기 위해 과거 강우량, 침투, 증발 및 하천 흐름 데이터를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강우량이 지표면의 침투율을 초과하면 지표 지형에 좌우되는 작은 함몰 부위에 초과유량이 축적되기 시작합니다. 결국, 전체 지역이 유역 출구에서 유출에 기여하게 됩니다. 간단한 강우-유출관계는 대략적인 물 수지(균형)이 필요한 경우에만 수자원 계획 연구에 사용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홍수 조절 또는 범람원 연구, 특히 도시 유역의 경우 강우와 유출 또는 하천흐름의 크기와 시간 분포에 대한 자세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소규모 유역이나 배수설계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가장 간단한 강우-유출 공식중 하나는 합리식 입니다. ..
직접유출을 위한 침투지수 접근법 지수 접근법은 강우 유출의 총량을 추정하는 가장 간단한 절차입니다. 이 방법의 목적은 전체 강우 기간 또는 여러 강우 기간으로 구성된 경우 전체 강우에 적용할 수 있는 계수를 구하여 직접 유출량의 추정치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세 가지 유형의 지수가 일반적으로 적용됩니다. 강우 깊이가 유역의 지표 유출 깊이와 같도록 강우 강도 다이어그램을 나누는 강도의 수평선을 나타내는 Φ지수 강우 강도가 침투 용량 fp와 같거나 그 이상인 기간동안 평균 침투율을 나타내는 fav지수 유역에 따라 변하는 fav의 평균인 W지수 입니다. 유역이 포화되고 침투 용량이 최소로 감소한 후 발생하는 비에 대한 W값을 Wmin 지수라고 합니다. Φ 지수는 이러한 지수 중 가장 간단한 지수입니다. 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