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최대강우량 증가 경향을 분석하여 확률 강우 증가량을 산정하여 우수유출저감시설 기본계획에 사용한다. 시우량 관측자료에 대하여 연도별 최대강우량의 경향성을 분석한다. 경향성 분석에는 회귀분석, 이동평균 등 최대강우량 증가추이를 최적 모형화가 가능한 분석기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지속시간별 강우 증가 추이를 이용하여, 현재연도 대비 목표연도의 강우지속시간별 강우증가량 및 증가율을 산정하고, 이로부터 설계 강우빈도에 대한 확률강우 증가량을 산정하여야 한다. 서울시 강우량 추세 분석, (예) 강우 지속시간 (Hr) 강우량 추세(mm) 증가량 (mm) 증가율 (%) 확률강우량(50년 빈도,mm) 2006년 2015년 2006년 확률강우량 2015년 확률강우량 1 52.9 53.4 0.5 0.9 101...
단위유량도는 지정된 기간의 강우량에서 직접 유출된 1인치 또는 1cm를 나타냅니다. 강우지속기간이 다르면 단위유량도의 모양이 달라집니다. 단위유량도에는 정의상 1단위의 직접 유출이 포함되므로 강우기간이 길어질수록 시간 기준이 길어지고 첨두유량이 낮아지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단위유량도를 한 기간에서 다른 기간으로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은 정수배법과 S-Curve 법이 있습니다. 정수배법 이 방법은 기간을 원래 기간보다 더 긴 기간으로 변환하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속기간 tr인 단위유량도를 tr만큼 지연된 동일한 단위유량도와 합성하면 단위유량도는 2tr 시간에 발생하는 2단위의 단위유량도를 나타냅니다. 이 단위유량도의 수치를 2로 나누면 단위유량도가 생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