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확률강우량은 지점확률강우량과 면적확률강우량으로 구분되며 유역면적 25.9㎢ 이상인 경우 면적확률강우량을 적용한다. (2) 면적확률강우량은 홍수량 산정지점을 기준으로 지점확률강우량에 면적우량환산계수(Areal Reduction Factor, ARF)를 곱하여 면적확률강우량을 산정한다. (3) 강우시간분포는 수정 Huff 4분위법을 적용하며, 3분위를 채택하고, 무차원 누가곡선의 50% 분위를 적용하여 산정한다. 1.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일정한 강우지속기간 동안 유역에 내린 평균우량 깊이는 호우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며, 면적강우량은 유역에 내린 총강우량을 유역면적으로 나눈 등가우량깊이를 의미하므로 호우중심으로부터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면적강우량은 점점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공간분포 및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