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경사지 옹벽 및 석축의 붕괴(손상) 유형옹벽은 흙막이 구조물로써 비탈면처럼 붕괴유형을 보이지 않고 구조물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부분적으로 손상이나 결함의 형태로 나타나고 손상이나 결함은 한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발생한 현상과 원인의 복잡한 조합에 따라 손상패턴을 달리한다. 1. 콘크리트 옹벽 손상콘크리트 옹벽에서 발생하는 손상의 종류는 실시하는 안전점검 및 정밀조사 등의 유지관리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구조물 침하, 구조물 전도, 구조물 활동, 콘크리트 파손 및 손상, 콘크리트 마모 및 침식, 콘크리트 열화, 콘크리트 균열, 세굴, 배수공 불량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구조물 침하는 옹벽구조물이 시공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가라앉는 현상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침하가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
보강토 옹벽 안정해석 방법 보강토 옹벽의 안정해석은 외적안정해석과 내적안정해석으로 구분하여 수행 보강토 옹벽 사면안정성 해석시 적용 기준안정율 구분 검토항목 평상시 지진시 비고 외적 안정 활동 1.5 1.1 - 전도 2.0 1.5 - 지지력 2.5 2.0 - 전체 안전성 1.5 1.1 - 내적 안정 인발파괴 1.5 1.1 - 보강재 파단 1.0 1.0 - - 전도에 대한 안정은 수직합력의 편심거리 e에 대한 다음 식으로도 평가할 수 있다. 평상시 e ≤ L/6 : 기초지반이 흙인 경우 e ≤ L/4 : 기초지반이 암반인 경우 지진시 e ≤ L/4 : 기초지반이 흙인 경우 e ≤ L/3 : 기초지반이 암반인 경우 - 보강재 파단에 대한 안전율은 보강재의 장기설계인장강도를 적용하여 1.0으로 한다. 외적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