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영향개발(LID) 기법 도입체계 기본방향도시화로 인해 불투수면이 증가하면서 지표면에 내린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신속배제' 됨으로써 여러 가지 물순환 왜곡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첨두유량 증가에 따른 도시홍수, 지하침투 감소에 따른 지하수 고갈 및 하천 유지용수 부족, 비점오염 물질 증가에 따른 수질오염, 도시열섬현상 등이 그 예이다.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LID 기법은 빗물을 침투·저류시킴으로써 도시화로 인해 왜곡된 물순환 체계를 회복하고자 하는 기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빗물을 침투·저류시키기 위한 빗물관리 목표량을 설정하여야 하며, 이후 토지이용도별 빗물관리 목표량을 할당하고 해당 목표량을 달성하기 위한 LID 기술요소 도입방안을 제시해야 한다.빗물관리 목표량 설정을 위해서는 개..
우수유출 목표저감량 산정 목표연도내 강우증가와 불투수면적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우수 유출 증가량이 1차적인 우수유출 목표저감량이 될 수 있으며, 이 중 하도의 용량부족으로 더 이상 부담할 수 없는 유출증가량을 우수유출저감시설을 통하여 저감하여야 하는 목표 저감량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우수유출 목표저감량 산정을 위해 배수구역별 목표저감량이 우선 상정되어야 한다. 배수구역별 목표저감량의 산정은 강우의 증가추이와 불투수면적 증가추이를 배수구역내 유출증가의 주된 인자로 보고 향후 이러한 인자로 인해 늘어날 수 있는 유출증가량을 목표저감량으로 산정하여야 한다. 유출총량 증가량은 해당지역의 목표연도내 확률강울 증가량, 불투수면적 증가예상량 등을 산출하여 해당지역에 적합한 유출모형을 사용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과거..
국토공간계획 및 불투수면적 증가추이를 바탕으로 목표연도 불투수면적 증가율을 추정하여 우수유출저감시설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정밀토양도를 기본으로한 CN값 변화 예측이 가능한 경우 이를 통한 불투수면적 증가추이를 산정함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다. 정밀토양도를 사용한 예측은 목표연도까지 상세한 개발계획이 수립되어 있어야 가능하므로 그렇지 못한 경우 최근 5년간 지목별 토지이용현황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불투수면적 증가 경향을 분석한다. 투수면적은 다음과 같이 분류 가능하다 : 배수구역내 전, 답, 과수원, 목장용지, 임야면적, 철도용지, 하천, 제방, 구거, 유지, 수도용지, 공원, 체육용지, 유원지, 종교용지, 사적지, 묘지, 잡종지, 기타 불투수면적은 다음과 같이 분류 가능하다 : 배수구역내 대지, 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