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강우의 빈도 설정 설계강우는 원칙적으로 영구구조물은 50년 빈도, 임시구조물은 30년 빈도 강우를 기준으로 하되, 하천 홍수량의 일부를 직접적으로 저감시키는 경우에는 해당 하천의 계획빈도를 고려하여 영구저류지의 설계빈도로 결정한다.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가중되는 재해요인을 사전에 경감시키기 위한 시설물에 대한 설계기준으로 개발후 영구저류지와 같은 영구구조물은 50년 빈도, 개발중 침사지겸 저류지와 같은 임시구조물은 30년 빈도 강우를 기준으로 하되, 하천 홍수량의 일부를 직접적으로 저감시키는 경우에는 해당 하천의 계획빈도를 고려하여 영구저류지의 설계빈도로 결정한다. 설계강우의 시간분포 결정 방법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는 Huff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Huff 방법의 분위는 첨두홍수량이 최대..
지점 강우량의 강우강도-지속기간-빈도(IDF) 분석 다양한 강우의 지점 강우량 데이터는 IDF연구를 통해 분석할 수 있습니다. 강우량 데이터는 많은 경우 하천 흐름을 추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강우량의 총량 뿐만 아니라 강우강도(mm/hr) 및 지속시간으로 갈려진 강우량의 강도도 최대 흐름 연구에서 중요합니다. 포인트 또는 게이지 관측은 10제곱마일(25.9 제곱킬로미터)의 배수 구역을 대표하는 것으로 간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점 강우 극한에 대한 연구는 우수 하수구, 배수구, 암거 등으로 구성된 소유역 배수 시스템 설계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강우강도-지속기간-빈도(IDF) 분석은 기록 강우량계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