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량 산정방법은 크게 홍수량 빈도해석 방법과 강우-유출관계 모형에 의한 방법으로 구분한다. 홍수량 산정방법은 홍수량 빈도해석 방법과 강우-유출관계 모형에 의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계측유역의 실측 연최대치계열의 홍수량 자료가 충분히 축적되어 있거나, 향후 축적될 경우 홍수량 산정 시 홍수량 직접빈도해석 결과와 강우-유출 관계 모형, 기왕 홍수자료, 홍수흔적, 경험공식 등을 비교·검토하여 홍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홍수량 빈도해석에 의한 방법은 홍수량 자료가 충분히 계측된 유역에 대하여 연최대홍수량 자료 계열을 작성 후 홍수빈도분석에 의해 확률홍수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홍수량이 미계측된 유역에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홍수량 계측유역에 대한 홍수빈도 분석결과와 계측유역의 지형특성 인자간 상관관계..
확률강우량은 FARD와 같은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확률강우량 산정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기존분석결과가 있는 경우 반드시 비교하여 검토를 실시하여야 한다. (1) 분석대상 재현기간의 선정 확률강우량 산정시 분석대상 재현기간은 10, 20, 30, 50, 100년의 5개를 기본적으로 산정하고 필요시에는 추가한다. 확률강우량 산정시 분석대상 재현기간은 10, 20, 30, 50, 100년의 5개를 기본적으로 선정하고, 필요시에는 다른 재현기간도 추가하여야 한다. 여러 재현기간에 대하여 분석하여 둠으로써 계획빈도 이외의 재현기간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함과 아울러 재현기간별로 산정된 강우량이 적절하게 산정되었는지를 IDF 곡선 등을 통하여 확인하기 위함이다. (2) 적용 확률분포형 및 매개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