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유출에 대한 HEC의 비선형 손실률 함수 접근법 미 육군 공병단의 수문 공학 센터(HEC)는 직접 유출에 사용할 수 없는 강수량에 대해 손실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손실률은 강우 강도와 비선형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지면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손실률 함수를 나타냈습니다. HEC연구에 따르면 유출수가 발생하기 전에 초기 수분 부족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차단 및 침투에 의한 수분 손실이 확실하게 발생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초기 손실에 대한 허용치는 다양한 선행 토양 수분 조건에 따라 결정됩니다. 초시 손실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발생하며, 이는 시간 간격에 따른 강우량을 초과하지 않습니다. f : 손실률, 인치 또는 시간당 mm K : 손실률 함수 p : 강우강도(인치, 또는 시간..
물의 손실과 증발 물 손실 지표 또는 지하 유출수로 최종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강수량을 물 손실 이라고 합니다. 이는 수면과 육지에서 대기 중으로 증발하는 물의 양인 증발과 식물과 작물이 흡수하여 최종적으로 대기로 배출하는 물의 양인 증산으로 구성됩니다. 증발과 증산은 수문 순환의 각 단계에서 일어납니다. 강수량의 약 70%가 증발과 증산으로 대기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이 두가지가 수문 순환의 주요 부분을 형성합니다. 호수, 저수지, 바다, 대양과 같은 개방된 수역에서 손실은 직접 증발에 의한 것입니다. 배수유역의 손실은 아래와 같습니다. 토양으로 부터의 증발 차단된 물의 증발 함몰된 지형의 고인 물에서의 증발 식물과 나무에 의한 증산 배수유역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총 손실을 증발산량이라고 합니다. 추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