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하천에서의 유사량 조사는 안정하도를 가지도록 하는 소하천 관련사업의 계획과 설계를 위해 수행되어야 하며, 장래 하상변동 예측이나 유사수지(sediment budget)를 평가하기 위한 자료로 필요하다. (2) 소하천계획에서 고려하는 유사량은 하도의 유사이송능력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조사 방법은 크게 실측에 의한 방법과 유사량 공식(유사이송함수)을 이용한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한 소하천에서 측정된 유사량 자료란 통상적으로 유량-유사량 관계곡선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관계곡선을 이용하여 얻어진 소하천에서의 특정 호우에 의한 유사량과 장기적인 유사유출 자료를 포함한다. 이때, 장기적인 유사유출 자료란 유량과 유사량간의 관계 곡선을 우선 만들고, 대상 지점에서의 장기적인 유황곡선을 활용하..
(1) 대상 소하천이 산사태 등에 의한 토양유실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 현지조사 및 토사유출량 평가 등을 통하여 사방시설 및 하도시설물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토사유출량 조사를 실시한다. (2) 소하천계획에서 고려하는 토사유출량은 소하천으로 공급되는 유사량을 의미하며 소하천 하도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인자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하도의 유사이송능력과 비교해서 토사유출량에 의한 유사랑이 적으면 침식이 발생하며 반대로 유사이송능력보다 유사량이 많은 경우 유사의 퇴적이 발생한다. (3) 이때, 토사유출량은 주로 지표면에서 침식되어 유실되는 유역의 토사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얻어져야 하며, 필요시 산지붕괴 조사 등을 수행한다. 토사유출량 조사 토사유출량은 RUSLE 또는 M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