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하천계획에서는 치수기능 뿐 아니라 이수 및 친수기능, 환경기능 등이 종합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며, 아름다운 소하천을 목표로 하여 본연의 생태환경과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최대한 보전하고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때, 아름다운 소하천이란 소하천이 치수, 이수 및 친수 그리고 환경기능을 조화롭게 발휘하고 있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소하천 유역을 체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치수 안정성 및 이수 기능의 확보, 생태환경의 보전 뿐 아니라 인간생활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경제적인 치수방재 및 이수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소하천 유역의 보전이나 개선복구 이후의 효율적인 유지관리계획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소하천의 지형학적 특성, 수리 및 수문학적 특성, 환경특성 등을 고려하여 올바른 정비방향을 설정하고, 획..
하천의 기저류는 지하수 배출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직접적인 하천 흐름으로 이어지는 유출과정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유출의 메커니즘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Horton(1933)의 고전적인 개념에 따르면 모든 토양 표면에는 침투 용량으로 알려진 특정 최대 수분 흡수율이 있습니다. 이 용량은 강우가 시작될 때 높았다가 금격히 감소하여 일정한 비율을 달성합니다. 강우 중 언제든지 강우강도가 토양의 침투 용량을 초과하면 물이 표면에 축적되어 작은 함몰을 채우고 지표 흐름으로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립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직접 하천 흐름에 대한 주요 기여는 지표유출에서 발생합니다. 실질적으로 전체 유역 면적이 이 지표유출에 기여합니다. 호튼의 유출 개념은 단위..
홀튼 침투 모델(Holton Model) 농업 유역의 경우 1960년대 중반과 1970년대에 미국 농무부 농업 연구청의 홀튼과 연구원들이 침투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USDHAL-70 유역 모델에서 사용된 수정 방정식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fp : 침투 용량(in/hr) GI : 작물의 성장 지수, 성숙도 백분율 a : 표면 연결 다공성 지수 S : 표층에서 사용 가능한 저쟝랑(in) fc : 장시간 습윤 후 일정한 침투 속도(in/hr) 미국 농무성에서는 여러 작물에 대한 실험적 GI곡선을 개발 했습니다. 아래는 홀튼 방정식에서 지수 a의 추정치 입니다. 지수 a는 표면 조건과 식물 뿌리의 밀도 함수입니다. 토지이용 열악한 상태 양호한 상태 휴경 0.10 0.30 줄 작물 0.10 0.20 작은 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