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도달시간은 강우에 의한 배수유역의 유출반응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매개변수이며 홍수량 산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이므로 산정에 신중을 기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도달시간은 유입시간과 유하시간의 합으로 계산한다. 홍수도달시간(유하시간) 산정은 현재시점 및 목표연도를 구분하여 적절한 공식을 적용하고 도달시간 산정과 유속 산정 결과로 산정된 도달시간의 적정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유입시간에 대한 기준이 아직까지는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므로 기존 「하천시설기준(건설부, 1993)」에서 제시된 바 있는 산지유역은 30분, 급경사유역은 20분 등의 기준과 Kerby 공식, SCS 공식 등을 적용한 후 적정한 값을 채택하여야 한다. 도달시간(유하시간)은 「방재조절지 설계지침 개발(I)」, (국립방재연구소,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