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수량 산정지점은 유역 상·하류의 홍수량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구간 설정, 지류합류점 및 주요 구조물 지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2) 유역특성인자는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로경사, 형상계수 등이 있으며 측량자료 및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를 이용해서 산정한다. 1. 홍수량 산정지점 선정 홍수량 산정지점별로 결정된 홍수량은 지점을 포함한 상류쪽의 홍수량 산정지점까지의 대표치로서 해당지점의 유역특성인 강우량, 강우분포, 유로연장, 하상경사, 유역면적 등을 포함한 복합적인 유역의 반응을 대표하는 수문량이다. 이러한 홍수량을 산정지점별로 입력자료로 하여 하도의 수리·수문학적 안정성을 결정하기 위한 홍수위 산정 등을 시행한다. 홍수량 산정지점 간격을 너무 길게 결정하면 상류의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