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의 기저류는 지하수 배출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직접적인 하천 흐름으로 이어지는 유출과정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유출의 메커니즘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Horton(1933)의 고전적인 개념에 따르면 모든 토양 표면에는 침투 용량으로 알려진 특정 최대 수분 흡수율이 있습니다. 이 용량은 강우가 시작될 때 높았다가 금격히 감소하여 일정한 비율을 달성합니다. 강우 중 언제든지 강우강도가 토양의 침투 용량을 초과하면 물이 표면에 축적되어 작은 함몰을 채우고 지표 흐름으로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립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직접 하천 흐름에 대한 주요 기여는 지표유출에서 발생합니다. 실질적으로 전체 유역 면적이 이 지표유출에 기여합니다. 호튼의 유출 개념은 단위..
유출수라는 용어는 저류되거나 대기 중으로 증발된 물과는 대조적으로 흐르는 물 또는 흐르는 상태에 있는 물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흐름 조건은 수문 순환의 여러 단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유출수가 있습니다. 지표 유출수는 지표면을 통해 하천 수로에 도달하고 수로를 통해 유역 배출구로 이동하는 유출수의 일부입니다. 정확히 표현하면 지표유출수에는 수로 도달 지점 위로 직접 떨어지는 강수량도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지표 유출수에는 수로상 강수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지표 유출은 하천의 흐름으로 비교적 빠르게 나타납니다. 지표하 유출수는 유출수의 일부가 땅속으로 이동하여 하천 수로와 최종적으로 유역 배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한 부분은 불포화 지대 내의 상부 토양 지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