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상변동 조사는 하상변동이 소하천의 홍수소통 능력과 호안, 수제, 교각, 취수시설, 댐 등 소하천 구조물의 안전이나 고유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2) 하상변동 조사는 가급적이면 현지에서 소하천 측량과 시로 채취와 자료분석을 통해 수행한다. 종·횡단 측량 실시 종·횡단 측량 조사는 동일 구간, 동일 측점에 대해서 일정 기간을 두고 2회 실시하여 하상의 종적·횡적 변동량을 산정한다. 종·횡단 측량시 하상토 시료 채취도 병행하여 하상토의 입경 변화의 분석과 장래 하상변동 예측에 이용한다. 횡단 측량은 홍수시 유사 이송이 예상되는 범위까지 실시하며, 유제부인 경우 소하천부지까지 제한한다. 조사 단면은 거리 측량표와 일치하는 횡단면을 취하며, 조사 간격을 소하천의 규모에 따라 적정..
(1) 대상 소하천이 산사태 등에 의한 토양유실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 현지조사 및 토사유출량 평가 등을 통하여 사방시설 및 하도시설물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토사유출량 조사를 실시한다. (2) 소하천계획에서 고려하는 토사유출량은 소하천으로 공급되는 유사량을 의미하며 소하천 하도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인자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하도의 유사이송능력과 비교해서 토사유출량에 의한 유사랑이 적으면 침식이 발생하며 반대로 유사이송능력보다 유사량이 많은 경우 유사의 퇴적이 발생한다. (3) 이때, 토사유출량은 주로 지표면에서 침식되어 유실되는 유역의 토사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얻어져야 하며, 필요시 산지붕괴 조사 등을 수행한다. 토사유출량 조사 토사유출량은 RUSLE 또는 M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