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상 소하천이 산사태 등에 의한 토양유실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 현지조사 및 토사유출량 평가 등을 통하여 사방시설 및 하도시설물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토사유출량 조사를 실시한다. (2) 소하천계획에서 고려하는 토사유출량은 소하천으로 공급되는 유사량을 의미하며 소하천 하도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인자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하도의 유사이송능력과 비교해서 토사유출량에 의한 유사랑이 적으면 침식이 발생하며 반대로 유사이송능력보다 유사량이 많은 경우 유사의 퇴적이 발생한다. (3) 이때, 토사유출량은 주로 지표면에서 침식되어 유실되는 유역의 토사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얻어져야 하며, 필요시 산지붕괴 조사 등을 수행한다. 토사유출량 조사 토사유출량은 RUSLE 또는 MU..
하도 : 평상시 혹은 홍수시 유수가 유하하는 공간이면서 수생 생태가 서식하는 공간 저수로 : 평상시 물이 흐르는 공간 고수부지 : 하도 내의 저수로 및 호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총칭 하안 : 하도 내 수면과 비탈면이 접하는 선적인 개념으로서의 영역 하상 : 하도 내에 있어서 유수가 흘러가는 바닥 부분 안정하도 : 하천이나 수로가 장기간에 걸쳐 세굴과 퇴적을 반복한 후 하상경사와 단면의 크기 및 형상이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고, 바닥면의 토사공급과 토사유송율이 같아져서 안정성태를 유지하는 하도 평형하천 : 하나의 하천구간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량과 하류로 유출되는 유사량이 같아 그 하천구간에 퇴적이나 침식이 어느 한 방향으로 계속되지 않고 하상의 상승이나 저하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하천 평형하상(안정하..
유출수라는 용어는 저류되거나 대기 중으로 증발된 물과는 대조적으로 흐르는 물 또는 흐르는 상태에 있는 물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흐름 조건은 수문 순환의 여러 단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유출수가 있습니다. 지표 유출수는 지표면을 통해 하천 수로에 도달하고 수로를 통해 유역 배출구로 이동하는 유출수의 일부입니다. 정확히 표현하면 지표유출수에는 수로 도달 지점 위로 직접 떨어지는 강수량도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지표 유출수에는 수로상 강수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지표 유출은 하천의 흐름으로 비교적 빠르게 나타납니다. 지표하 유출수는 유출수의 일부가 땅속으로 이동하여 하천 수로와 최종적으로 유역 배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한 부분은 불포화 지대 내의 상부 토양 지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