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내 저류방식의 저류지 계획 1. 저류지 위치 결정 (1) 토지이용계획을 최대한 수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윈칙으로 한다. (2) 저류지 위치에 따른 홍수저감량 대상면적에 따라 저류지의 규모가 크게 변화되는 점을 고려하여 본류 설치 또는 지류 설치 방안을 채택하며 또한, 하류수위의 영향 유무를 고려한다. (3) 유역출구점이 여러 개소로 분할되는 경우 유역별로 모두 저류지를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를 준수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유역변경과 같은 적절한 대안을 강구한다. 지금까지 하도내 저류(on-line) 방식의 저류지 위치는 홍수저감량 산정의 편의성 등의 치수측면만을 고려한 결과 주로 사업부지 하류단에 위치하게 되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합리적인 토지이용계획을 최대한 수용하여 저류지의 위치를 결..
저류지 홍수조절 방식 구분 및 선정 방법 (1) 지역외 저류(off-site) 방식의 저감시설인 저류지는 홍수조절 방식에 따라 하도내 저류(on-line) 방식과 하도외 저류(off-line) 방식으로 구분된다. (2) 수리학적 안전성이 높은 하도내 저류(on-line) 방식을 우선적으로 채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지구특성상 불가피한 경우에 한하여 하도외 저류(off-line) 방식을 채택한다. 하도내 저류(on-line) 방식은 하천노선상에 저류지를 설치하여 모든 규모의 하천유량을 저류지로 유입시킨 후 일반적으로 비조절방식으로 자연방류시킴으로써 첨두홍수량을 저감시키고 첨두발생시간을 지연시키는 방식이다. 반면, 하도외 저류(off-line) 방식은 하천노선의 측면 외부에 저류지를 설치하여 개발 후 홍수..
우수유출저감시설의 분류 우수유출저감시설은 저감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저감방법 : 저류시설, 침투시설 저류시설은 사용용도, 설치위치 및 연결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사용용도 : 침수형 저류시설, 전용 저류시설 - 설치위치 : 지역내(On Site) 저류시설, 지역외(Off Site) 저류시설 - 연결형태 : 하도내(On Line) 저류시설, 하도외(Off Line) 저류시설 저류시설이란 우수가 유수지 및 하천으로 유입되기전에 일시적으로 저류시켜 바깥수위가 낮아진 후에 방류하여 유출량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유입시설, 저류지, 방류시설 등의 시설을 말하며, 사용용도에 따라 침수형 저루시설과 전용 저류시설로 구분하며, 장소에 따라 지역외(Off Site)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