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수량 산정방법은 강우-유출 관계를 이용한 합성단위도 방법 중 Clark 단위도법을 채택한다. (2) 도시화율이 높아 유출특성이 상이한 도시하천은 홍수량 산정 시 도시유출 모형을 적용하여 홍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홍수량 산정 방법은 강우-유출 관계 분석 방법을 채택하며, 강우를 우선 결정한 후 유역의 대표단위도를 적용하여 직접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한다. 여기에 기저유량을 더하여 홍수수문곡선을 결정한다. 유역의 대표단위도는 다수의 호우사상별 강우-유출 자료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나, 실무에서는 자료의 제약 때문에 관측자료로부터의 단위도 유도가 곤란하므로 대부분의 경우 미계측 유역에 적용하는 합성단위도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합성단위유량도 방법에는 NRCS, Snyder, ..
홍수량 산정 방법은 배수구역의 특성(자연유역, 도시유역 등)을 고려하여 3가지 이상을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자연유역의 경우에는 단위도법(Clark, SCS, Nakayasu 등)을 적용하고, 도시유역의 경우에는 도시유출모형(ILLUDAS, SWMM 등)을 적용한다. 홍수량 산정 방법은 배수구역의 현재시점 및 목표연도의 배수구역 특성(자연유역, 도시유역 등)을 고려하여 3가지 이상을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자연유역의 경우에는 단위도법(Clark, SCS, Nakayasu 등)을 적용하고, 도시유역의 경우에는 도시유출모형(ILLUDAS, SWMM 등)을 적용한다. 현 시점으로부터 목표연도까지의 기간 중 개발에 따라 자연유역에서 도시유역으로 변화되는 경우 개발전에는 단위도법을 적용하고 개발 후에는 도시유출모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