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량 산정 방법은 배수구역의 특성(자연유역, 도시유역 등)을 고려하여 3가지 이상을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자연유역의 경우에는 단위도법(Clark, SCS, Nakayasu 등)을 적용하고, 도시유역의 경우에는 도시유출모형(ILLUDAS, SWMM 등)을 적용한다. 홍수량 산정 방법은 배수구역의 현재시점 및 목표연도의 배수구역 특성(자연유역, 도시유역 등)을 고려하여 3가지 이상을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자연유역의 경우에는 단위도법(Clark, SCS, Nakayasu 등)을 적용하고, 도시유역의 경우에는 도시유출모형(ILLUDAS, SWMM 등)을 적용한다. 현 시점으로부터 목표연도까지의 기간 중 개발에 따라 자연유역에서 도시유역으로 변화되는 경우 개발전에는 단위도법을 적용하고 개발 후에는 도시유출모형을..
1. 도시지역유출해석(SWMM :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이란? 도시지역유출해석(SWMM)은 주로 도시 지역의 유출량과 수질에 대한 단기강우 또는 장기 강우 시뮬레이션에 적용되는 모델이다. SWMM의 유출 구성요소는 강수를 받아 유출 및 오염물질 부하를 발생시키는 소유역 단위로 작동한다. SWMM의 추척 부분은 관거, 개거, 저장 및 처리장치, 펌프 및 조절기의 시스템을 통해 유출물의 이동을 추적한다. SWMM은 여러 시간 단계로 구성된 시뮬레이션 기간 동안 각 소유역 내에서 발생하는 유출량과 수질을 추적한다. 2. 도시지역유출해석(SWMM의 일반적인 적용) 홍수조절을 위한 배수 시스템 구성 요소의 설계 및 규모 조정 홍수방지 및 수질관리를 위한 저류시설의 용량 결정 자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