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댐 사면활동의 안정성 검토
- 자료실/수자원공학
- 2025. 2. 28.
반응형

필댐 사면활동의 안정성 검토
1. 활동에 대한 최소 안전율
- 활동에 대한 최소 안전율은 재료의 시험과 안정계산의 정밀도가 불충분하거나 연약지반 위의 댐과 같이 불안정 요소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1.5를 적용하되 여타의 경우에는 아래의 표를 기준으로 한다.
활동에 대한 최소 안전율
| 구분 | 제체조건 | 저수상태 | 지진 | 안전율 | 비고 | |
| 상류 | 하류 | |||||
| 1 | 완성직후 (간극수압최대) |
바닥상태 | 있음 | 1.3 | 1.3 | 1) 상류측 비탈면의 하부존이 암석 등으로 되어 있어 간극압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 한함 2) 수위는 보통 댐 높이의 45~50%를 적용하여 계산함 |
| 2 | 완성직후 | 일부저수1) | 없음 | 1.3 | - | |
| 3 | 평상시 | 설계홍수위 | 없음 | 1.2 | 1.2 | |
| 4 | 평상시 | 만수 | 있음 | 1.2 | 1.2 | |
| 5 | 평상시 | 일부저수2) | 있음 | 1.15 | - | |
| 6 | 평상시 | 급강하 | 있음 | 1.2 | - | |
2. 설계하중
- 제체 및 기초의 활동파괴에 대한 안정성의 검토에 고려되는 하중은 자중, 정수압, 간극수압 및 지진 관성력으로 하고 이를 저수지의 상태에 따라 적용한다.
- 활동파괴에 대한 안정계산에 사용하는 제체의 자중은 다음과 같으며, 제체재료의 단위체적중량은 실제 사용하는 재료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의해서 결정한다.
- 완성직후로 저수하지 않을 때(표의 1 경우) 제체재료의 습윤 단위 체적중량(rt)로 한다(그림 a 참조)
- 몇 년 후 저수로 인해 정상 침투상태(표의 2~4)의 경우에 저수지 침윤선의 윗부분은 제체재료의 습윤 단위체적중량(rt)을 사용하고 침윤선 아랫부분은 포화 체적단위중량(rsat)을 사용한다(그림 b 참조)
- 수위 급강하시(표의 5(a) 및 5(b) 경우) 침윤선의 윗부분은 제체재료의 습윤 단위체적중량(rt)을 사용하고 침윤선에서 아랫부분은 포화 단위체적중량(rsat)을 사용한다(그림 c 참조)
활동파괴를 검토하는 경우
| 경우 | 저수지 수위 |
정수압 계산 수위 |
침투수(간극수압)의 상태 |
지진 관성력 설계진도 |
원형활동면 분할법 적용 |
|
| 응력표시 | 계산사면 | |||||
| 1 | 완성직후 | 빈 경우 | 축제중 간극수압이 잔류 | 50% | 전응력 또는 유효응력 |
상 하류측 |
| 2 | 설계홍수위 | 설계홍수위 | 설계홍수위에서 침투류가 정상상태 |
0% | 유효응력 | 상 하류측 |
| 3 | 상시만수위 | 상시만수위 | 상시만수위에서 침투류가 정상상태 |
100% | 유효응력 | 상 하류측 |
| 4 | 중간수위 | 중간수위 | 중간수위에서 침투류가 정상상태 |
100% | 유효응력 | 상류측 |
| 5 | 수위급강하 | - | - | - | - | - |
| (a) | 일상적으로 수위급강하가 이루어지는 댐 |
강하후 수위 최저수위 |
상시만수위에서 최저수위까지 강하했을 때 이미 간극수압이 잔류 | 100% | 유효응력 | 상류측 |
| (b) | 그 외 댐 | 50% | 유효응력 | |||

- 활동파괴에 대한 안정계산에 있어서 저수지의 정수합은 활동모멘트 쪽으로의 기여 분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를 생각하여 안전한 값을 주는 방법을 채택한다.
- 지진관성력은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 제체의 지진관성력은 침윤선 윗부분은 습윤중량에, 침윤선 아랫부분은 포화 중량에 설계진도를 곱한 것으로 하고 작용위치는 절편의 활동면상으로 하며, 작용방향은 수평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한다.
- 유효응력 표시에 의한 안정계산에서 고려되는 간극수압은 다음과 같은 상태를 감안하여 적용한다.
- 시공중 및 완성직후에 있어서의 흙 속의 응력변화로 발생하는 간극수압
- 저수시의 정상 침투류에 의한 간극수압
- 수위급강하시의 간극수압
반응형
3. 설계수치
- 설계수치는 적절한 토질시험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시공조건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한다.
밀도
- 설계밀도(rt)는 현장 함수비로서 다질 수 있는 밀도를 채택한다. 이것들은 토질, 기상, 시공 조건 등에 의하여 변하지만 보통 KS 시험규격에 의한 최대 건조밀도의 90~95% 정도를 적용한다. 이때 전단강도는 같은 다짐도라도 습윤측(OMC+)의 전단강도를 적용한다.
전단시험치
- 전단시험은 3축 압축시험을 원칙으로 하며, 토질재료의 전단강도는 전단시험의 조건에 따라서 변하므로 시험목적에 알맞는 시험조건으로 한다.
- 비압밀 비배수시험(UU시험) : 댐 완성직후의 상태
- 압밀 비배수시험(CU시험) : 수위 급강하시, 댐 완성 후 정상침투 상태
- 압밀 배수시험(CD시험) : 댐 완성 후 정상침투 상태
축제재료의 불균질성
- 축제재료의 불균질을 고려하여 저수에 의한 포화범위를 조사하는 데는 재료 중에서 가장 투수성이 큰 값을 채택하고, 반대로 수위가 저하할 때는 배수범위를 조사하여 가장 투수성이 작은 값을 채택한다.
축제 후 변화하는 재료의 설계
- 댐과 재료 중 사용전과 후에 성질이 상당히 폭 넓게 변화하는 재료는 전단강도, 투수, 압밀도 등에 변화가 생겨서 제체의 안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재료는 될 수 있으면 안정계산에 관계가 작은 존에 사용하도록 설계할 때 고려한다.
4. 안정계산
- 댐의 안정계산에는 임계원에 의한 활동면법과 응력-변형해석법 두 가지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이때, 응력-변형해석법 사용시 수직진도 사용 여부는 설계자의 판단에 따른다.
- 가장 일반적인 안정계산 방법은 활동면법으로, 이 방법은 실제의 활동파괴 현상에 잘 부합될 뿐만 아니라 안정해석에 안전측이다.
5. 수치해석에 의한 안정성 검토
- 댐체 및 기초의 응력과 변형 등의 크기와 분포상태를 수치해석 방법으로 구하고, 이를 활동면법에 의하여 구한 결과치와 비교한 후 이로부터 댐의 안전성을 검토한다.
- 유한요소법보다 정도가 높고 경제적인 수치해석기법이 있으면 이의 적용도 가능하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소규모댐 및 복합댐의 설계 (0) | 2025.03.04 |
|---|---|
| 필댐 변형의 안정성 검토 및 갤러리 (0) | 2025.02.28 |
| 필댐 침투수의 안전성 검토 (0) | 2025.02.25 |
| 필댐 표준단면의 설계 (0) | 2025.02.21 |
| 필댐 기초설계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