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댐 기초설계

반응형

필댐 기초설계

1. 일반사항

  • 필댐의 기초설계는 터파기와 기초처리를 포함하여 계획하고 필댐 기초로서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며, 제체 및 원지반의 특성에 따라 설계한다.
  1. 충분히 전단강도를 가질 것
  2. 변형 침하량이 적을 것
  3. 침투수량이 충분히 적을 것
  4. 침투파괴를 일으키지 않을 것
  5. 지진시 액상화 현상을 일으키지 않을 것

 

2. 암반기초

  • 암반기초 위에 댐을 축조할 경우, 차수부에 존재하는 풍화암 등 취약부분을 제거하고 기초지반 암 균열부분에 그라우팅 등의 기초처리를 한다.
  • 또한 암반과 축제재료와의 접착성을 증대시켜 접촉면을 통한 누수를 감소시키며, 층상퇴적암의 경우에는 그 층면에 따르는 활동을 검사한다.

 

3. 사력기초

  • 사력층과 같은 투수성 지반 위에 댐을 축조할 경우에는 지반을 통한 침투수가 허용범위 안에 들도록 하는 동시에 이 침투수를 안전하게 댐 밖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조치를 강구한다.

 

4. 토질기초(연약지반)

  • 점토, 실트, 유기질 등으로 된 연약지반 위에 댐을 축조할 경우에는 특히, 활동파괴와 압밀침하에 대하여 충분한 안전율을 고려해서 설계한다.
반응형

5. 코어존(core zone)의 기초설계

  • 코어존의 기초는 가급적 차수가 가능한 암반으로 하되,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충분한 차수성과 침하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기초는 극단의 요철(凹凸) 및 돌출부가 없도록 굴착하고, 단층 및 이완된 층에 대해서는 적절한 처리를 한다.

 

6. 필터존(filter zone)의 기초설계

  • 필터존의 기초는 원칙적으로 코어존의 기초에 준하여 설계하나 필터존이 넓은 경우에 외측 절반정도는 암석존(rock zone)에 준하여 설계해도 된다.

 

7. 암석존(rock zone)의 기초설계

  • 암석존의 기초는 소요의 강도를 가지며 변형성이 작은 것으로 한다. 또 그 형상은 상부 구조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8. 그라우팅(grouting)의 설계

  • 댐의 기초 그라우팅은 기초암반이 시추공(boring)을 천공하고 그라우트 재료를 주입하여 기초지반을 개량하고 기초변형 및 침투수량을 제어하는 목적으로 시행한다.
  • 기초지반의 그라우팅은 그 목적에 따라 일반적으로 커튼 그라우팅(curtain grouting), 블랭키드 그라우팅(blanket grouting), 특수 그라우팅으로 나누며 설계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지형 및 암반의 단단함이나 균열상황 등의 지질조건
  2. 댐의 형식과 규모
  3. 그라우팅을 해야 할 범위와 공 간격
  4. 주입압력, 그라우트(grout)의 배합 및 이들의 적합한 시공설비
  5. 그라우팅 후 목표 차수효과
  6. 주변지역으로의 그라우트 누수방지
  7. 주입순서와 시공관리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댐 표준단면의 설계  (0) 2025.02.21
축제재료의 선택(필댐)  (0) 2025.02.13
댐 형식의 결정(필댐)  (0) 2025.02.11
필댐 설계일반  (0) 2025.02.10
댐 위치와 형식의 결정  (0) 2025.02.07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