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필댐 설계일반
1. 적용범위
- 이 장에서 규정하는 기준은 필댐의 설계에 적용한다.
- 기준 내용은 기술수준의 향상 및 관계 법령의 개폐 등에 따라 개정하여 시행한다.
- 이 기준의 적용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준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술심의 및 자문 등을 통하여 실무지침을 정하여 운용할 수 있다.
2. 필댐의 정의
- 록필댐 또는 흙댐과 같이 암석, 자갈, 토사 등의 천연재료를 층다짐을 하면서 쌓아 올려 축조한 부분을 주체로 하는 댐을 필댐(fill dam)이라 한다.
3. 필댐의 안정조건
- 필댐에 있어서도 그 역학적 성질은 콘크리트 중력댐과 마찬가지로 제체 재료의 중량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그 안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 제체가 활동하지 않을 것
- 안정적 여유고를 확보하여 저수가 댐 마루를 월류하지 않을 것
- 비탈면이 안정되어 있을 것
- 기초지반이 압축에 대해서 안전할 것
- 제체 및 기초지반이 투수에 안전할 것
반응형
4. 필댐의 분류 및 특성
가. 필댐의 분류
- 필댐은 구조상 균일형, 존(zone)형, 코어(core)형 및 표면차수벽형의 4종류로 분류되며, 코어형은 다시 코어의 배치위치에 따라 중심코어형과 경사코어형으로, 코어의 축조재료에 따라 점토 코어형과 아스팔트 코어형 및 콘크리트 코어형으로 나눌 수 있다.
나. 필댐의 특성
- 필댐은 지형, 지질, 재료 및 기초의 상태에 그다지 구애받지 않고서도 축조할 수 있는 반면에 홍수, 월류에 대해서는 거의 저항력이 없고 침하가 불가피한 구조물로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단면의 특성상 단위면적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고 기초에 전달되는 응력이 작아 풍화암이나 하천 퇴적층의 기초지반에도 기초처리를 하면 그 축조가 가능하다.
- 댐 지점 주위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 시공에서 최적의 장비를 투입함으로써 기계화율을 높일 수 있다.
- 제체의 재료가 입상의 토석으로 구성되어 있어 시공중 또는 시공후 제체 및 외부 추가하중으로 인한 변형이 장단기적으로 발생하고, 댐체와 원지반토의 경계면을 통해 파이핑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홍수가 제체를 넘어가서는 절대 안되므로 여수로, 가배수로의 규모, 여유고의 결정 등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침하가 불가피한 구조물이므로 여수로와 같은 구조물을 제체 위에 설치하기 어려워 통상 제체와 분리하여 설계한다.
- 제체내부의 강성의 차이는 부등침하의 원인이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다.
- 필댐은 구성요소가 복잡하며 시공관리에 따른 변화요소가 많기 때문에 정확한 해석이 어렵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제재료의 선택(필댐) (0) | 2025.02.13 |
---|---|
댐 형식의 결정(필댐) (0) | 2025.02.11 |
댐 위치와 형식의 결정 (0) | 2025.02.07 |
댐 계획 저수지 홍수추적 (0) | 2025.02.06 |
유입 설계홍수의 계산절차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