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입 설계홍수의 계산절차
- 자료실/수자원공학
- 2025. 2. 4. 10:26
반응형
유입 설계홍수의 계산절차
1. 설계홍수의 규모결정
- 댐의 설계홍수 규모는 댐 건설비(cost)와 댐 하류의 인명 및 재산에 대한 안정성(safety)을 상대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한다.
- 여수로나 댐 마루표고를 설계하기 위한 대상 홍수의 크기는 댐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을 가급적 최소화하면서 댐의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크기로 한다.
- 댐의 파괴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막대하므로 PMF를 설계홍수로 채택하며, 소규모댐도 피해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에는 PMF 혹은 50% PMF이상을 택해야 한다.
- 가배수시설이나 소규모 구조물은 빈도홍수를 설계대상 홍수로 채택할 수도 있으나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반응형
2. 설계홍수의 계산
- 저수지로의 유입 설계홍수의 규모가 결정되면 그 규모에 상응하는 여러 지속시간별 설계강우를 결정하여 적절한 강우-유출 모형에 의해 유출계산으로 저수지 유입 설계홍수 수문곡선을 작성한다.
- 홍수량 산정에 있어 전체 유역면적 크기 및 유역내 양질의 수위관측소가 존재할 경우에는 필요시 전체 유역을 소유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 홍수량 산정을 위한 매개변수를 추정할 때, 대상유역의 실측 호우사상이 있을 경우에는 자동추정 및 수동추정 방법을 통해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매개변수가 물리적으로 타당한 범위내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 최종 매개변수 결정은 첨두유량과 매개변수가 일정한 경향을 보일 경우에는 가장 큰 첨두유량에 해당하는 매개변수를 채택하는 최대 개념의 단위도를 적용하고, 일정한 경향이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호우사상을 적절히 만족하는 평균 개념의 단위도를 적용한다.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피해의 증가를 감안할 때 가능한 한 최대 개념의 단위도를 적용하고 산정된 홍수량 값에 대해서는 기존의 댐 설계 값들과 비교, 검토하여 결과의 합리성을 제시한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댐 위치와 형식의 결정 (0) | 2025.02.07 |
---|---|
댐 계획 저수지 홍수추적 (0) | 2025.02.06 |
댐 계획 합성단위유량도법 (0) | 2025.02.03 |
댐 계획 단위유량도법 (0) | 2025.01.31 |
가능최대강수량의 유효우량주상도 작성 (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