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계획 합성단위유량도법

반응형

댐 계획 합성단위유량도법

1. 일반사항

  • 합성단위유량도법은 단위유량도의 특성변수들이 유역의 유출특성을 지배하는 지상 인자들과 상관시킴으로써 수문자료가 없는 미계측 유역에 대한 단위유량도를 작성하는 방법이다.
  • 이 방법은 단위도의 특성변수인 첨두유량점에서의 유량과 발생시각, 유출기저시간의 종점시각 등이 유역의 지상인자인 유역면적, 유로연장 및 경사 등과 높은 상관성을 가진다는 전제하에 이들 특성변수들을 경험공식으로 계산하여 단위도를 작성하는 방법이다.
  • 지금까지 제안된 합성 단위유량도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표적인 방법에는 유역추적법, Snyder 방법, 미국 토양보존국방법 등이 있다.
반응형

2. 유역추적법

  • 유역추적법은 대상유역을 한개 혹은 일련의 저수지와 하도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유역으로부터 출구지역으로의 홍수유출량을 저류방정식을 풀이하는 수문학적 홍수추적법에 의해서 계산하는 방법으로 선형방법 혹은 비선형방법 등이 있다.
  • 선형 또는 비선형 관계에 따라 Clark 유역추적법 및 저류함수법으로 구분되며, 국내 실무의 경우에는 주로 Clark 유역추적법을 이용한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