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계획 단위유량도법
- 자료실/수자원공학
- 2025. 1. 31. 15:57
반응형
댐 계획 단위유량도법
1. 일반사항
- 단위유량도(unit hydrograph)는 "특정 단위시간 동안 균일한 강도로 유역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내리는 단위 유효우량(1cm)으로 인하여 유역 출구에 발생하는 직접유출량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이라 정의할 수 있다.
- 단위유량도법은 호우로 인한 홍수유출의 시간적 분포를 표시하는 홍수 수문곡선을 선형의 강우-유출 관계를 가정하여 계산하는 방법으로 시간강우 및 유출자료가 관측된 경우에만 단위유량도의 유도와 적용이 가능하다
2. 강우-유출 자료분석에 의한 단위유량도의 유도
호우사상의 선택
- 단위유량도를 실측 수문자료로부터 유도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가급적 단일 첨두홍수를 가지는 단순호우 사상을 선택하여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강우지속기간 동안 강우강도가 가급적 균일하게 분포한 강우사상
- 유역 전역에 걸쳐 강우의 공간적 분포가 가급적 균일한 강우사상
- 강우의 지속기간이 유역 지체시간의 약 10~30% 정도
- 호우로 인한 직접유출고(유효우량)가 약 13~44mm 정도 이상인 강우사상
- 단순호우 사상별 단위도의 유도는 유역내 자기우량 관측소에 기록된 시간별 누가 우량자료와 유역출구(댐 지점)에서의 시간수위 자료(수위 수문곡선)가 획득되면, 직접유출 수문곡선 및 총 우량 주상도의 작성, 직접유출고의 계산에 의한 단위유량도의 시간종거의 계산, 단위유량도의 지속기간 결정 등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3. PMF 계산을 위한 대표단위유량도의 작성
- 한 유역을 대표하는 단위도는 여러개의 단순호우 사상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도의 지속기간을 통일시킨 후에 첨두유량점의 좌표를 평균하여 정하고, 이를 원점 및 단위도 기저시간의 종점과 연결시켜 단위도 아래의 면적이 단위유효우량(1cm)이 되도록 스케치하여 유역의 평균단위도를 유도한다.
- 평균단위도의 용적이 원래 단위도의 용적과 같도록 단위도의 감수를 조정하여 유역의 대표던위도를 작성한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입 설계홍수의 계산절차 (0) | 2025.02.04 |
---|---|
댐 계획 합성단위유량도법 (0) | 2025.02.03 |
가능최대강수량의 유효우량주상도 작성 (0) | 2025.01.23 |
댐 계획 가능최대강수량의 추정 (0) | 2025.01.22 |
설계홍수량의 결정 일반사항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