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최대강수량의 유효우량주상도 작성
- 자료실/수자원공학
- 2025. 1. 23. 11:38
반응형
가능최대강수량의 유효우량주상도 작성
1. 일반사항
- 가능최대강수량으로부터 각종 유출계산모형으로 가능최대홍수량을 계산할 경우에는 계산된 PMP 우량주상도로부터 손실우량을 분리하여 유효우량주상도를 작성한다.
- 대부분의 강우-유출 관계모형은 총 강우 중의 유효우량과 이로 인한 유역출구(댐 지점)에서의 직접유출량간의 관계를 계산하는 모형이며, 총 홍수량은 모형으로 계산된 직접유출량에 적절히 추산된 기저유량을 합하여 결정한다.
- PMP 유효우량주상도는 PMP 주상도로부터 시간별 손실우량을 빼고 작성하는 것으로, 손실우량 산정방법은 다음의 방법중에서 선정한다.
- 일정비법(constant fraction method)
- 일정손실률법(constant loss rate method)
- 초기손실-일정손실률법(initial loss-constant loss rate method)
- 침투곡선법(infltration corve method)
- 표준형 강우-유출관계곡선밥(standard rainfall-runoff relation curve method)
반응형
2. 손실우량의 산정방법
- 손실우량 산정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방법마다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용대상 유역에서의 검증절차를 거쳐 가장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원칙이나, 그러하지 못할 경우에는 적용의 객관성이 높은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대상유역 내외에 강우-유출자료가 있는 경우, 손실우량은 주요 홍수로 해석된 강우손실 값 중 가장 작은 값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우리나라 중소유역에 대한 유출량의 실측자료가 부족한 경우에는 비교적 객관성이 높고 유역의 지상인자의 결정에 의해 계산이 가능한 표준형 강우-유출관계 곡선법을 사용할 수 있다.
- 표준형 강우-유출관계 곡선법의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미국자연자원보존청(Nation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NRCS)의 유호우량 산정법이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댐 계획 합성단위유량도법 (0) | 2025.02.03 |
---|---|
댐 계획 단위유량도법 (0) | 2025.01.31 |
댐 계획 가능최대강수량의 추정 (0) | 2025.01.22 |
설계홍수량의 결정 일반사항 (0) | 2025.01.21 |
댐 계획 환경보전계획과 사회경제적 영향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