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러다짐 콘크리트댐 세부설계

    반응형

    롤러다짐 콘크리트댐 세부설계

    1. 재료

    가. 시멘트

    • RCD용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시멘트는 댐 콘크리트 사용에 적합한 것이라야 하며, 소요강도를 얻는 범위내에서 수화열의 발생이 적게 해야 한다.

    나. 잔골재

    • 잔골재는 댐 콘크리트의 사용에 적합하고 유기불순물 등을 함유하지 않고 깨끗해야 하며, 다짐이 쉽게 되도록 적절한 입도를  가진 골재를 선택하고 입도는 안정된 것이라야 한다.

    다. 굵은골재

    • 굵은골재는 댐 콘트리트의 사용에 적합하고 유기물을 함유하지 않고 깨끗해야 하며, 다짐이 쉽게 되도록 적절한 최대치수와 입도를 가진 것을 사용한다.
    • RCD용 콘크리트는 매우 된 반족이며, 운반수단으로서 덤프트럭을 사용하는 일이 많으므로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라. 혼화재료

    • 혼화재료는 댐 콘크리트의 사용에 적합한 것이라야 하며, 혼화재료의 선정과 사용방법은 반드시 시험에 의한다.
    • RCD용 콘크리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혼화재는 플라이애쉬 등이 있으며, 혼화제는 AE감수제를 많이 사용한다.

     

    2. 배합

    가. 일반사항

    • 콘크리트의 배합은 소정의 강도, 단위중량, 내구성, 수밀성을 가지며 경화할 때 온도상승이 작으면서 작업에 적정한 워커빌리티를 갖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을 적게 한다.

    나. 배합의 종류

    • 콘크리트 배합은 배합 구분에 따라 적절한 배합으로 한다.
    • RCD공법에서의 콘크리트 배합 구분은 기본적으로 종래 공법과 동일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1. 내부 콘크리트 : RCD용 콘크리트, 내부 진동기로 다짐하는 콘크리트
    2. 외부 콘크리트
    3. 암착 콘크리트
    4. 끝마무리 거푸집용 콘크리트
    5. 구조물용 콘크리트

    다. 굵은골재 최대치수

    • RCD용 콘크리트는 대단히 된비빔이기 때문에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콘크리트의 제조, 운반, 타설공정에서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재료분리 및 시공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보통 80mm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라. 반죽질기

    • RCD용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는 진동대식 반죽질기 시험기(VC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며 VC값으로 관리한다.
    • 배합시험에서는 대형용기를 사용하나 현장관리시험에는 표준용기(소형 VC시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응형

    마. 공기랑

    • RCD용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표준시방배합에 의해 시험을 실시하여 정하며, 종래의 내부 콘크리트의 공기량보다 조금 적게 설정한다.

    바. 단위수량

    • 단위수량은 VC값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골재의 입도, 입형에 따라 다짐이 용이하게 되는 범위내에서 최소가 되도록 시험을 실시하여 정한다.

    사. 단위시멘트량

    • RCD용 콘크리트에서의 단위시멘트량은 소요 워커빌리티, 강도, 내구성 및 단위중량이 얻어지는 범위내에서 최소로 한다.
    • 외부 콘크리트의 단위시멘트량은 단위수량과 강도, 내구성 및 수밀성 등을 고려하여 물-시멘트비를 결정한다.

    아. 잔골재율(S/a)

    • 잔골재율은 소요 워커빌리티가 얻어지는 범위내에서 VC값이 최소가 되도록 시험을 실시하여 정한다.

    자. 배합설계의 순서

    • 시방배합을 정하는 배합설계는 사용하는 시멘트의 종류, 골재의 입도,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 및 시험에서 목표로 하는 반죽질기 등의 모든 조건을 정한다.
    • 배합설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단위수량을 정한다.
    2. 단위시멘트량은 1 에서 정한 단위수량과 소요을 물-시멘트비를 고려하여 정한다.
    3. 잔골재율(S/a)을 정한다.
    4. 필요시 시험을 실시하여 소요의 워커빌리티 및 강도를 확인한다.
    5. 이상의 결과에서 시방배합을 정하며, 현정 플랜트의 비빔결과에서 시방배합을 결정한다. 또한 펴고르기, 진동다짐의 결과로 필요에 따라 수정하여 시방배합을 결정한다.
    • 시방배합은 배합설계로 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며, 중요한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신속히 수정한다.
    • 기타 배합설계 순서는 일반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기준에 따른다.

     

    3. 이음 및 지수

    가. 가로이음

    • 가로이음은 댐의 제체내 불규칙적인 온도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진동줄눈절단기 등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확실히 설치한다.
    • 가로이음의 지수 처리방법에는 지수판에 의한 방법이 일반적이다. 지수판의 배치는 기본적으로 종래 공법의 경우와 동일하며, 상류 고정 가로이음부에 지수판과 배수공을 고정하여 매립한다.

    나. 수평시공이음

    1) 시공이음의 처리

    • 시공이음은 구조적으로 약점이 없도록 각 리프트 표면의 레이턴스 및 뜬돌등은 적절한 시기에 모터 스위퍼 또는 고압 세정기 등으로 제거한다.
    • 그린컷 개시 시기는 보통 여름철에는 24~36시간, 겨울철에는 36~48시간 정도로 실시한다.

    2) 모르타르 펴고르기

    • 콘크리트의 확실한 부착을 위해 타설 전에 암착부 및 콘크리트 수평시공이 음면의 표면을 사전에 충분히 습윤상태로 유지하고 물을 제거한다.
    • 그런 다음 타설직전에 모르타르를 바르고 펴고르기를 한다. 펴고를 때 모르타르의 두께는 암반면은 2cm, 시공이음면은 1.5cm를 표준으로 한다.

     

    4. 제체 부속구조물

    • 롤러다짐 콘크리트댐의 제체 부속구조물은 콘크리트 중력댐의 내용을 준용한다.

     

    5. 계측설비

    • 롤러다짐 콘크리트댐의 계측설비는 콘크리트 중력댐의 내용을 준용한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