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러다짐 콘크리트댐 시공관련 설계 검토
- 자료실/수자원공학
- 2025. 4. 22.
반응형
롤러다짐 콘크리트댐 시공관련 설계 검토
1. 콘크리트 비비기 및 치기
가. 일반사항
- RCD용 콘크리트는 매우 된비빔이고 시멘트풀이 적으므로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콘크리트의 혼합에서 치기까지 다음 사항을 준수한다.
- 특히 적은 양의 시멘트풀이 일부분에 편중되지 않도록 균등하게 비빈다.
- 믹서에서 버킷이나 덤프트럭, 버킷에서 덤프트럭이나 다른 운반기계로 옮길 경우에는 토출구와 받침대의 거리를 짧게 하여 가능한 한 한꺼번에 토출하는 장치로 한다.
- 가능한 한 불도저 등으로 균질의 얇은 층으로 펴서 고른다.
- 정해진 횟수로 균등하게 진동롤러다짐을 실시한다.
나. 시험시공
- 시험시공은 본공사 전에 시공기술의 연습과 RCD용 콘크리트의 배합의 확인 등을 목적으로 실시한다.
- 시험항목은 각각의 현장에 필요한 항목으로 정하며, 일반적으로 다음 항목에 대하여 실시한다.
- RCD용 콘크리트의 운반, 부리기, 펴고르기, 다짐의 방법
- 줄눈절단기에 의한 가로이음의 시공방법
- 시공이음의 처리방법
- 거푸집 사이, 이종 콘크리트 사이의 RCD용 콘크리트의 타설방법
- 단위수량의 변화에 의한 RCD용 콘크리트의 반죽질기, 다짐 특성의 변화
- 콜드조인트의 처리방법
- RCD용 콘크리트의 배합이 특수한 경우에는 그 품질의 확인 등
반응형
다. 콘크리트 비비기
- RCD용 콘크리트의 단위시멘트량 및 단위수량이 적으므로, 균질한 콘크리트를 얻기 위하여 충분한 비비기를 한다.
- RCD용 콘크리트의 비비기에는 가경식 믹서 또는 강제 비빔형 믹서가 이용된다.
라. 콘크리트 운반
- RCD용 콘크리트는 단위시멘트량과 단위수량이 적은 콘크리트로서, 비벼진 콘크리트는 치는 장소로 신속히 운반하고 운반중의 옮겨 싣기 횟수를 적게 하여 재료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품질이 변화하지 않도록 한다.
마. 콘크리트 펴고르기
- RCD용 콘크리트의 펴고르기는 다짐을 충분히 할 수 있는 두께로 하며, 운반중에 분리된 콘크리트는 거듭 비비기를 하여 균질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 펴고르기의 범위는 펴고른 후의 다짐을 소정의 시간내에 마칠 수 있는 범위로 하며, 펴고르기 방법은 댐축 방향을 원칙으로 한다.
바. 콘크리트 다지기
- RCD용 콘크리트는 진동롤러에 의해 소정의 품질이 얻도록 가능한 한 신속하게 충분한 다짐을 한다.
- 진동롤러에 의한 다짐방법은 펴고르기 방향과 동일하며 댐축 방향을 원칙으로 한다. 다짐폭은 일반적으로 2m를 표준으로 하며 인접 Lane의 경계부분에 다짐부족이 생기지 않도록 겹침다짐을 하고 겹침폭은 2cm가 일반적이다.
- RCD용 콘크리트를 비빈후부터 다짐 개시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면 충분한 다짐이 곤란하므로 가능한 한 빨리 다짐을 실시한다.
2. 양생
- 콘크리트는 타설후 경화에 필요한 온도 및 습도조건을 확보하여 충분히 양생하며, 습윤양생을 표준으로 한다. RCD공법에서는 시공기계의 가동 등을 고려하여 보통 스프링쿨러 등에 의해 살수양생을 한다.
- 한중콘크리트를 양생할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동결되지 않도록 다짐한 콘크리트의 표면을 방수매트 등으로 덮어 보온양생하고, 온도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3. 거푸집
- RCD공법에서 가로이음용 끝막이 거푸집은 종래 공법과 달리 1 리프트에서 설치하는 것으로 거치, 제거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 상류 및 하류 거푸집은 종래 공법과 같이 대형 거푸집이 사용되며, 형상 및 위치를 정확히 유지하여 필요한 강도를 갖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 끝마무리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여름에는 콘크리트 타설후 12시간, 겨울에는 24시간 정도 경과한 후 콘크리트의 경화 정도를 확인하고 철거를 시작한다.
4. 콘크리트의 온도규제
- RCD공법으로서 댐 콘크리트를 설계할 때 온도규제 계획을 수립하여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기인하는 온도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시멘트의 수화열을 억제하기 위하여 단위시멘트량은 댐 콘크리트에서 요구하는 강도, 수밀성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내에서 가급적 적게 사용한다.
- 댐 콘크리트의 타설중에는 온도균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온도를 규제하여 관리토록 하며, 콘크리트의 타설온도는 25℃ 이상에서는 치기를 금지한다.
- 콘크리트 다설시 온도를 억제하기 위하여 여름철에는 가급적 야간에 타설하고 살수하며, 특히 레이어가 최대가 되는 하상부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은 기온이 낮아지는 시기에 실시하는 등 온도규제를 중복적으로 실시한다.
- 댐 콘크리트 축조시 최고온도(Tmax)를 규정하여 온도응력에 의한 온도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치댐 설계일반 (0) | 2025.04.25 |
---|---|
롤러다짐 콘크리트댐 확장레이어공법 (0) | 2025.04.23 |
롤러다짐 콘크리트댐 세부설계 (0) | 2025.04.21 |
롤러다짐 콘크리트댐 설계일반 (0) | 2025.04.15 |
콘크리트 중력댐 시공관련 설계 검토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