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평가 대상 지역 내의 자연사면, 기존 인공사면, 옹벽 및 축대에 대하여 산사태 및 급경사지 관리기관 또는 지자체의 관리자료를 조사하여 제시한다. (2) 「급경사지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과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사면재해와 관련된 사면현황을 조사하여 제시한다. 기초현황 조사의 사면현황 조사는 문헌조사에 국한하고, 현지조사는 중복 기술을 지양하고 상세분석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후술되는 상세분석에 기술한다. 사면 현황조사 지역은 사업지구 및 상류유역을 조사하고, 사업지구, 사업지구 진입도로 등의 재해위험도가 가중되는 주변지역의 자연사면, 기존 인공사면, 옹벽 및 축대 등이 존재하는 유역을 추가로 조사하여 기술한다. 산사태위험지역과 급경사지가 너무 많아서 분량이 방대한 경우에는 후술되는 상세분석에서 ..
(1) 소하천에서의 유사량 조사는 안정하도를 가지도록 하는 소하천 관련사업의 계획과 설계를 위해 수행되어야 하며, 장래 하상변동 예측이나 유사수지(sediment budget)를 평가하기 위한 자료로 필요하다. (2) 소하천계획에서 고려하는 유사량은 하도의 유사이송능력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조사 방법은 크게 실측에 의한 방법과 유사량 공식(유사이송함수)을 이용한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한 소하천에서 측정된 유사량 자료란 통상적으로 유량-유사량 관계곡선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관계곡선을 이용하여 얻어진 소하천에서의 특정 호우에 의한 유사량과 장기적인 유사유출 자료를 포함한다. 이때, 장기적인 유사유출 자료란 유량과 유사량간의 관계 곡선을 우선 만들고, 대상 지점에서의 장기적인 유황곡선을 활용하..
침투트렌치는 단위길이 10m 당 배수구역 면적을 130㎡ 기준으로 한다. 침투트렌치 관경이 25cm, 개공은 10㎠ 당 직경 2cm의 원형, 트렌치 관 경사는 2%, 5%, 관길이가 10m 일 때 배수구역 면적을 130㎡ 기준으로 한다. AMC-I 조건하에서 5개의 트렌치수심에 대하여 CN은 2%일 때 84, 5%일 때 83 이며, AMC-III 조건하에서 CN은 2%, 5% 모두 84로 적용시킨다. AMC-I 조건의 경사별 침투트렌치 CN 트렌치 수심 (mm) 강우량P (mm) 유출량Q (mm) S (mm) P/S CN 2% 5% 2% 5% 2% 5% 2% 5% 2% 5% 50 248.1 352.7 119.5 187.4 169.7 206.2 1.46 1.71 60 55 100 293.0 30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