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D 기술요소 식생체류지(빗물정원) 설계기준1. 개요잔디, 초본식물, 나무 등 다양한 식생들을 식재하여 우수유출수를 침투 및 여과시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시설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식물이 식재된 토양층과 모래층 및 자갈층 등으로 구성되며, 강우유출수가 식재토양층 및 지하침투 과정에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기술요소이다. 2. 적용 시 고려하상식생체류지는 신규 또는 기존 도심의 녹지공간을 활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시설로 저비용 고효율의 빗물관리가 가능하다.경관성과 심미적 효과가 높고, 산업단지, 각종 공원, 도로, 주차장 등 다방면의 입지에 적용 가능하지만 주택단지는 강우유출수의 체류시간을 최대한 짧게 하여야 한다. 3. 세부 설계기준가. 기본사항식생체류지는 유입부, 침강지, 저류 및 침..
토지이용계획별 LID 기법 적용방안(교육·공공청사 용지)1. 기본방향학교용지와 공공청사 용지는 비교적 빗물관리 목표량 달성이 쉬운 편이다.학교시설의 경우 운동장이 많은 면적을 차지하여 빗물 유출량도 많고 토사도 포함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빗물 발생원을 지붕, 포장 지표면, 비포장 지표면으로 구분하여 지붕에서 발생하는 빗물은 빗물통을 거치도록 하고, 포장 지표면은 투수성 포장을 원칙으로 한다.발생원별 빗물처리의 과정은 도시된 절차를 기본으로 하되, 적용하는 대상 부지 또는 건축물 여건에 따라 처리과정을 가감할 수 있다.교육시설 또는 공공기관의 청사가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0조제1항제1호 또는 제3호에 따른 빗물이용시설 설치대상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