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하천 유역의 수공구조물 계획 및 설계시 기본이 되는 설계수문량(설계강우량, 설계홍수량, 계획홍수위 등)의 산정이 필요하다. 대상 소하천 유역의 중요도를 고려한 치수계획의 구묘에 따라 산정된 설계수문량에 의해 수공구조물을 설계하여 구조적 치수대책을 수립하게 되며, 설계수문량을 초과하는 이상홍수에 대비하여 유역관리, 홍수예경보, 홍수터관리, 홍수보험, 그리고 홍수피해저감 대책 등과 같은 비구조적 치수대책도 수립하게 된다. 수해로부터 안전한 소하천 유역을 계획하고 조성하기 위해서는 계획의 기본이 되는 수문학적 설계빈도를 적절하게 선정할 필요가 있다. 설계수문량은 대상 수공구조물의 사회경제적 중요도에 따라 규모를 달리 설정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파괴에 따른 잠재적 인명 및 재산의 피해 등을 종합적으로..
홍수량 산정방법은 크게 홍수량 빈도해석 방법과 강우-유출관계 모형에 의한 방법으로 구분한다. 홍수량 산정방법은 홍수량 빈도해석 방법과 강우-유출관계 모형에 의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계측유역의 실측 연최대치계열의 홍수량 자료가 충분히 축적되어 있거나, 향후 축적될 경우 홍수량 산정 시 홍수량 직접빈도해석 결과와 강우-유출 관계 모형, 기왕 홍수자료, 홍수흔적, 경험공식 등을 비교·검토하여 홍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홍수량 빈도해석에 의한 방법은 홍수량 자료가 충분히 계측된 유역에 대하여 연최대홍수량 자료 계열을 작성 후 홍수빈도분석에 의해 확률홍수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홍수량이 미계측된 유역에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홍수량 계측유역에 대한 홍수빈도 분석결과와 계측유역의 지형특성 인자간 상관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