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하천계획의 과정 소하천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계획구간을 정확히 설정하고 수계별 소하천망을 구성한다. 소하천의 측량 및 조사를 수행하여 소하천대장을 작성하고 소하천을 지정·고시한다. 소하천의 효율적·경제적 정비를 계획하기 위해 유역 및 하천특성, 수리 및 수문량, 하천이용, 생태환경특성 뿐 아니라 재해이력 및 하천경제성을 조사·분석하여 정비의 목적을 설정한다. 소하천에 대한 각종 조사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소하천의 계획에 대한 기본 방침과 방향을 설정한다. 조사 및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기후변화를 고려한 설계수문량 및 유지유량을 산정하며, 이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계획한다. 설정된 계획방향을 토대로 해당 소하천에 대한 항목별 계획과 각 항목에 대한 세부계획을 수립한다. 주민의견조사와 사업효과 및 경제..
소하천 실시계획의 수립에서는 소하천공사 시행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정할 수 있도록 공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측량을 실시한다. 1. 지형현황 측량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측량이며 GPS 및 T/S 기준점 측량을 바탕으로 하는 3, 4급 기준점의 성과를 활용하여 계획제방을 중심으로 주변의 지형지물 및 소하천시설물 등의 위치 등을 측량하여 계획평면도를 작성하기 위한 측량이다. 계획평면도 작성을 위한 지형현황도의 축척은 1:500 ~ 1:1,200을 원칙으로 하되 작성 계획기관의 공사 목적에 따라 정한다. 또한 본 도면은 공사 집행을 위한 주요도면이므로 공사 집행시 차질이 없도록 세부적인 내용으로 측량을 실시해야 한다. 본 측량은 제방축조용 토취장 계획과 소하천의 시설물(저류지 및 저수시설 등)의 설치계획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