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설계기준 수질조사1. 조사일반댐 건설전 수질 및 오염원 조사와 댐 건설 이후 오염원의 변화를 검토한다.수질조사의 공간적 범위는 사업대상지역 및 댐 유역으로 하며, 내용적 범위는 댐 건설전 하천의 모든 상황을 그 범위로 한다.댐 건설전·후 댐의 수질을 대표할 수 있는 3개 이상의 지점(댐 지점, 상류, 하류)을 선정하고 지속적인 관측계획을 수립한다. 2. 수질조사 및 대책 검토가. 일반사항수질조사는 공공수역에서 하천수의 수질과 관련된 환경기준의 유지 여부와 달성기준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지점을 선정하고, 수질 및 유량을 동시에 관측함으로써 수질현황 분석과 댐 건설후의 수질을 예측하여 대책을 검토한다.나. 예비조사해당지역의 예비수질조사는 기존자료의 활용과 현지답사를 통하여 파악하며, 환경부와 광역 및 기초..
1. 조사 항목 수질 소하천의 수질 오염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 항목에 대하여 조사를 시행하고, 해당 소하천의 특성에 따라 중금속 등 추가 조사 항목이 필요할 경우 해당 항목을 추가하여 조사한다. 수소이온농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부유물질량, 용존산소량, 수온, 총질소, 총인, 카드뮴, 비소, 시안, 수은, 유기인, 폴리크로네이티드비페닐, 납, 6가크롬, 음이온계면활성제, 엽록소-a 등 수질조사시 유량의 조사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수질과 유량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저질 소하천의 하상 퇴적물 등 저질의 오염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 항목에 대하여 조사를 시행하고, 해당 소하천의 특성에 따라 추가 조사 항목이 필요할 경우 해당 항목을 추가하여 조사한다. 수소이온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