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설계기준 수질조사
- 자료실/수자원공학
- 2024. 12. 16. 09:25
반응형
댐 설계기준 수질조사
1. 조사일반
- 댐 건설전 수질 및 오염원 조사와 댐 건설 이후 오염원의 변화를 검토한다.
- 수질조사의 공간적 범위는 사업대상지역 및 댐 유역으로 하며, 내용적 범위는 댐 건설전 하천의 모든 상황을 그 범위로 한다.
- 댐 건설전·후 댐의 수질을 대표할 수 있는 3개 이상의 지점(댐 지점, 상류, 하류)을 선정하고 지속적인 관측계획을 수립한다.
2. 수질조사 및 대책 검토
가. 일반사항
- 수질조사는 공공수역에서 하천수의 수질과 관련된 환경기준의 유지 여부와 달성기준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지점을 선정하고, 수질 및 유량을 동시에 관측함으로써 수질현황 분석과 댐 건설후의 수질을 예측하여 대책을 검토한다.
나. 예비조사
- 해당지역의 예비수질조사는 기존자료의 활용과 현지답사를 통하여 파악하며, 환경부와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실시한 조사결과를 이용한다.
다. 수질조사
- 수질조사는 먼저 조사지점의 선정, 수위 유량 관측, 분석방법 등으로 나누어지며 원수의 분석항목, 채수지점, 채수방법, 조사시기, 채수시 고려할 사항 등을 충분히 검토하여 실시한다.
- 조사지점은 댐 예정지의 하천과 유역의 수질상황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곳을 선정한다.
라.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조사
-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조사는 자료수집과 현지답사를 통해 댐 유역에서 발생하는 오염상황을 조사하고, 수질조사 결과 등에 의해서 각 오염물질의 부하량을 파악한다.
- 오염원 조사시 필요에 따라서 자연환경, 토지이용상황, 하상상황, 이수상황, 산업활동, 하수도 정비상황, 지역의 장래 계획 같은 항목에 대한 자료를 장기간 수집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 수질오염 검토
- 유역의 수질예측은 오염원의 오염부하량 조사자료를 검토하여 현재 수계의 수질오염 현황을 양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해당유역의 개발계획 등을 고려하여 장래의 수질오염을 검토한다.
바. 대책 검토
- 수질오염 예측조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 댐의 건설에 의해 이루어지는 환경의 변화 즉, 용수, 수질, 하천유지관리 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때는 다음 사항을 검토한다.
- 선택취수의 여부
- 하수로 인한 수질오염이 심한 경우에 대한 하수도 등의 정비
- 산업폐수가 문제가 될 경우에 환경보전법의 규정에 따른 규제강화
- 광산, 온천지역 등에서 폐수의 전처리시설 또는 중화처리장의 건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댐 설계기준 지질 및 지반조사 (0) | 2024.12.27 |
---|---|
댐 설계기준 유역특성조사 (0) | 2024.12.17 |
댐 설계기준 기상·수문조사 (0) | 2024.12.13 |
댐 측량 (0) | 2024.12.10 |
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 분석방법 (0) | 2024.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