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댐 측량
1. 측량계획 수립
- 댐 건설을 위한 측량은 댐을 포함한 유역, 저수지 주변의 지형, 댐 위치 및 부근의 현황, 댐과 관련된 부대시설, 댐 공사를 위한 임시시설 등의 위치 및 현황 파악이 가능하도록 작성한다.
- 또한, 측량결과에 따른 일반 지형도에는 지형, 지물, 지장물 및 기설치 구조물 등의 현황을 상세하게 표기하고, 댐 및 부대시설, 진입도로, 가설건물, 사토장 및 석산, 재료원 등의 계획시설물을 나타낼 수 있는 범위로 작성한다.
- 댐 이외 부대시설의 경우에 종 횡단측량은 추진단계, 묵적에 맞게 선택하여 시행할 수 있다.
- 측량 항목 및 정도는 추진단계 및 목적에 적합하게 정한다.
2. 댐 부지 측량
가. 일반사항
- 댐 부지의 측량은 댐 본체의 설계에 필요한 측량과 발전소, 여수로, 취수설비 및 기타 부대시설 설계에 필요한 측량으로 구분되며, 해당 시설물별로 각각 현황측량 및 종횡단 측량을 실시한다.
나. 측량성과
- 댐 부지에 대한 측량으로 현황측량, 종단측량, 횡단측량, 댐 상 하류의 하천 종횡단측량 등을 실시한다.
- 현황측량은 1/500~1/1,000 정도의 축적으로 하고, 댐 및 부대시설 등이 표기되도록 충분한 범위까지 실시한다.
- 종단측량은 최종 결정된 댐축에 대하여 댐의 중심선을 따라 좌우안의 굴착 및 계획시설물 위치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범위까지 실시한다.
- 횡단측량은 댐축의 직각방향으로 댐체의 상하류 끝단 위치, 가물막이, 공사용도로 등 부대시설을 고려하여 충분한 범위까지 실시한다.
- 댐 상류 하천 종횡단 측량은 배수위 계산이 필요한 본류 및 지류에 대하여 실시한다.
- 댐 하류 하천 종횡단 측량은 방수위 계산이 필요한 본류 및 지류에 대하여 실시한다
- 댐 부지에 대한 측량 성과를 작성함에 있어서 필요시에는 항공사진측량을 실시할 수 있다.
반응형
3. 저수지 측량
가. 측량범위
- 저수지 측량은 댐을 중심으로 저수지 규모, 각종 시설물 배치, 도로계획, 보상 범위 등을 고려하여 충분히 넓은 지역까지 실시하고 설계에 필요한 정도를 갖는 등고선도를 작성한다.
- 측량의 범위는 댐 지역과 그 주변지역을 포함한다. 특히, 댐 지점이나 여수로 방수로 위치 등의 위치 비교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 후보지를 포함하는 충분한 범위로 한다.
- 저수지 측량시 정기적인 저수지 퇴사량 측정을 위하여 사전에 대표 횡단지점을 선정하고 표석을 설치한다.
나. 측량방법
- 저수지 특량은 노력, 시간, 경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해야 하지만 가급적 삼각측량을 기준으로 시행하며, 대규모 저수지의 경우에는 항공사진 성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트래버스 측선은 삼각망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삼각점과 연결시킨다.
- 저수지 특량에 의한 지형도 작성시 축척은 저수지의 면적에 따라 아래 표의 범위 내에서 정하고 A1규격의 용지에 표기될 수 있는 크기로 한다
<저수지 면적과 평면도의 축척>
면적 | 축척 |
1.0㎢ 초과 | 1/2,000~1/5,000 |
0.5~1.0㎢ | 1/1,000~1/2,000 |
0.5㎢ 미만 | 1/500~1/1,000 |
4. 가설비 및 이설도로 부지 측량
- 가설비의 합리적인 배치 및 설치공사를 위한 측량은 가설비 시설별 기능과 목적에 부합되는 정도로 시행한다.
- 가설비 부지 측량은 댐 지점의 상하류부에 걸쳐서 와우안의 지형, 지물의 특성, 가용면적, 공사용설비 및 가설비 등의 배치계획을 고려하여 수행한다.
- 이설도로는 대체로 저수지 주변에 개설되므로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 및 농어촌도로 구조시설 기준에 따라 설치하며 주변경관과 조화되도록 노선과 도로단면 계획에 유의한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댐 설계기준 수질조사 (0) | 2024.12.16 |
---|---|
댐 설계기준 기상·수문조사 (0) | 2024.12.13 |
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 분석방법 (0) | 2024.12.06 |
미래 재해 취약성 분석방법 (0) | 2024.12.05 |
현재 재해 취약성 분석방법 (0)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