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재해 취약성 분석방법

반응형

미래 재해 취약성 분석방법

1. 미래 기후노출

  • 미래 기후노출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전망치를 활용하여 미래 기후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분석
  • ArcGIS Spatial Analyst의 Zonal Tool을 활용하여 최소 공간범위별 기후노출 평균값을 추출하고, 자연적 구분법(Jenks의 최적화 방법)으로 등급화(I~IV) 함

미래 기후노출 분석 예시 : 폭우

 

- 기상청 기후변화정보센터에서 제공하는 남한상세(해상도 1km)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
- 자료 요청시 시나리오는 RCP8.5를 선택하고, 자료의 기간은 현재부터 2100년 까지이며, 자료의 형태는 ESRI ASCII GRID 이며, 미래의 기후노출 분석에 필요한 자료의 목록을 체크하고, 활용계획서를 작성한 후 다운로드하여 가공 분석
-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는 ESRI ASCII GRID로 Raster Data의 형태이므로 Cell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ArcGIS Spatial Analyst의 Zonal Tool을 활용하여 분석
-자료의 해상도가 1km×1km 이기 때문에 본 분석에서 사용하는 최소 공간범위인 집계구와의 공간 규모의 차이를 비교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Resampling 하여 해상도를 조정해 분석 할 수도 있음

 

2. 미래 도시민감도

  • 시가화증가지역, 인구증가지역, 도시개발사업진행·예정지구 등 미래 도시 개발 전망을 고려하여 미래 도시민감지역을 도출하고, 집계구별 점수 부여
  • 집계구별 미래 도시민감지역 점수는 집계구 면적 대비 집계구 내 도시민감지역 면적 비율로 산정

 

- 도시개발사업 진행구역 또는 예정구역은 사업구역 자료를 확보하여 Polygon 형태로 GIS DB를 구축한 후, 면적을 수치화 하여 분석
- 시가화밀집·증가지역, 인구밀집·증가지역은 각각 환경부 토지피복분류지도(1970년, 75년, 80년, 85년, 90년, 2000년, 05년)와 통계청 인구자료(2000년, 05년, 10년)의 시계열 자료 분석을 통해 증가율을 자연적 구분법(Jenks의 최적화방법)으로 등급화하여 분석

 

  • 최소 공간범위별 미래 도시민감지역 점수에 대해 ArcGIS의 자연적 구분법(Jenks의 최적화방법)으로 등급화(I~IV) 함

 

미래 도시민감도 분석 예시 : 폭우

 

3. 미래 취약성(등급화)

  • 미래 취약성은 미래 기후노출(I~IV)과 미래 도시민감도(I~IV)에 대한 취약성 등급 매트릭스(Matrix)상의 매칭 등급으로 등급화(I~IV) 하여 미래의 재해취약지역(I, II등급) 도출
  • 미래 기후노출, 미래 도시민감도, 미래 취약성은 I등급으로 갈수록 취약
미래 취약성 등급 매트릭스 미래 취약성 분석 예시 : 폭우

 

매트릭스에 의한 미래 취약성 등급 구분표

 

출처 :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매뉴얼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