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도달시간은 강우에 의한 배수유역의 유출반응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매개변수이며 홍수량 산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이므로 산정에 신중을 기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도달시간은 유입시간과 유하시간의 합으로 계산한다. 홍수도달시간(유하시간) 산정은 현재시점 및 목표연도를 구분하여 적절한 공식을 적용하고 도달시간 산정과 유속 산정 결과로 산정된 도달시간의 적정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유입시간에 대한 기준이 아직까지는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므로 기존 「하천시설기준(건설부, 1993)」에서 제시된 바 있는 산지유역은 30분, 급경사유역은 20분 등의 기준과 Kerby 공식, SCS 공식 등을 적용한 후 적정한 값을 채택하여야 한다. 도달시간(유하시간)은 「방재조절지 설계지침 개발(I)」, (국립방재연구소, 1997)..
최대 계획우수량의 산정은 원칙적으로 합리식에 의하는 것으로 한다. 단, 충분한 실적에 의한 검토를 추가한 경우에는 실험식에 의할 수도 있다. 합리식 : Q = 0.2778 × C × I × A Q : 유출량(㎥/s) C : 유출계수 I : 강우강도(mm/hr) A : 유역면적(㎢), 단위환산계수가 1/360 일 경우 유역면적의 단위는 ha 적용 우수관거의 여유율 유송잡물의 유수저해, 토사 퇴적, 지하수 유입 등 계획유량과 실제 발생 유량과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 각 지역의 실정에 따라 계획우수량의 10~20%의 여유율을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지형여건상 계획유량과 실제 발생유량과의 차이가 없다고 예상되는 경우에는 여유율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유출계수 유출계수는 토지이용도별 기초유출계수를 구하여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