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하천계획의 수립 소하천계획은 소하천 본연의 아름다운 경관을 최대한 보전하고 치수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이수와 상태환경 보전의 조화를 도모한다. 소하천계획은 재해예방계획, 이수 및 친수계획, 환경계획으로 구성되며 아름다운 소하천 가꾸기 계획을 포함하여야 한다. 경제성 검토와 주민의견 수렴을 통행 소하천의 불필요한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2. 적용범위 소하천계획은 소하천정비법에서 정의한 소하천과 그 유역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 및 관리를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소하천정비의 계획구간 중 소하천구역 및 치수 및 이수, 생태환경의 영향을 받는 구역을 계획의 범위로 한다. 소하천의 보전과 동시에 하천수의 이용 및 방재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정비의 기본적인 기준을 제시한다. 3. 소하천의 특징 우리..
(1) 홍수량 산정지점은 유역 상·하류의 홍수량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구간 설정, 지류합류점 및 주요 구조물 지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2) 유역특성인자는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로경사, 형상계수 등이 있으며 측량자료 및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를 이용해서 산정한다. 1. 홍수량 산정지점 선정 홍수량 산정지점별로 결정된 홍수량은 지점을 포함한 상류쪽의 홍수량 산정지점까지의 대표치로서 해당지점의 유역특성인 강우량, 강우분포, 유로연장, 하상경사, 유역면적 등을 포함한 복합적인 유역의 반응을 대표하는 수문량이다. 이러한 홍수량을 산정지점별로 입력자료로 하여 하도의 수리·수문학적 안정성을 결정하기 위한 홍수위 산정 등을 시행한다. 홍수량 산정지점 간격을 너무 길게 결정하면 상류의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