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설계기준 유역특성조사1. 조사사항댐이 건설될 지점을 포함하는 유역의 지형조사와 유역특성 및 하천형태조사를 통해 하천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한다. 2. 유역특성조사가. 유역특성 인자조사유역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인자들을 조사한다.유역면적유역평균경사유역의 방향성유역평균표고기타 유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인자나. 유역형상조사유역전반에 대하여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사한다.유역형상의 분류 및 특징유역평균폭유역형상계수유역밀집도기타 유역형상에 관련된 사항다. 수계조사조사대상 유역의 유수소통능력을 판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사한다.하천망도 및 배수계통도수로 종 횡단의 형태하천수량 상태기타 수계에 관련된 사항라. 기타조사댐 유역의 토사유실 및 탁수발생 가능성 등을 조사하여..
지하변전소 개구부 높이 결정(1) 변전소의 개구부(출입구, 장비반입구, 외부환기구)는 계획 침수높이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방수판, 방수문 등으로 인하여 계획 침수높이 이상의 높이까지 폐쇄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다.(2) 변전소는 전력구를 통해 우수가 유입될 경우 방화문이 위치한 방화벽이 1차 차수벽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방화문의 여닫이 방향이 변전소 방향인 경우 수압에 의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전력구 방향으로 여는 여닫이 형식을 채택해야 한다.지하변전소의 경우 전력공급의 말단으로 가동 중단시 주변지역에 주는 피해가 크므로 상습침수지역에 설치를 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설치하는 경우 주변 빗물펌프장의 배수용량과 관계없이 그 생명선을 확보할 수 있는 ..
(1) 홍수량 산정지점은 유역 상·하류의 홍수량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구간 설정, 지류합류점 및 주요 구조물 지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2) 유역특성인자는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로경사, 형상계수 등이 있으며 측량자료 및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를 이용해서 산정한다. 1. 홍수량 산정지점 선정 홍수량 산정지점별로 결정된 홍수량은 지점을 포함한 상류쪽의 홍수량 산정지점까지의 대표치로서 해당지점의 유역특성인 강우량, 강우분포, 유로연장, 하상경사, 유역면적 등을 포함한 복합적인 유역의 반응을 대표하는 수문량이다. 이러한 홍수량을 산정지점별로 입력자료로 하여 하도의 수리·수문학적 안정성을 결정하기 위한 홍수위 산정 등을 시행한다. 홍수량 산정지점 간격을 너무 길게 결정하면 상류의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