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에 대한 일반적인 유역 형상입니다. 유역에 내린 강우는 지역을 관통하여 서측에서 동측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유역출구로 흘러 나갑니다. 기상요인, 생리학적 또는 유역요인, 인적요인(예 : 토지피복 상태 등)이 모두 유역출구의 반응에 기여합니다. 소유역 G와 F는 소유역 D를 통해 유출된 후 B를 거쳐 최종적으로 A를 통과하여 배출됩니다. 수문곡선은 1에서 4까지 번호가 매겨진 하천유역을 통과하는 홍수 경로를 나타냅니다. 위의 그림은 시간-면적의 히스토그램이 유역의 수문 응답을 계산하는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여줍니다. 이 개념에서는 수문곡선이 배출구에서 동일한 이동 시간을 가진 영역의 다양한 기여도에 의해 구축된다고 가정합니다. 등시간선은 하위 영역과 이동 시간을 정의하므로 강우량 Pi와 면적 Ai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