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경사지 붕괴 수리적 요인급경사지 붕괴의 수리적 요인은 크게 기후적 요인, 인공적 요인, 지형적 요인으로 구분하며, 이러한 수리적 요인은 단기적으로 비탈면 활동력 증가와 지반 저항력의 감소를 유발하고, 장기적으로 열화 및 비탈면 시설의 노후화를 가속시키므로 이에 대한 유지관리 대책의 수립이 필수적이다. 1. 기후적 요인 : 집중강우, 동결융해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 확대로 국내 여름철 집중강우의 패턴이 과거에 비해 장기화 되면서 최근 급경사지 붕괴로 인한 피해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급경사지 피해 현황(2017 - 2021년, 행정안전부)구분피해현황(개소)붕괴위험지역인명피해(명)피해액(백만원)2017년1513-1922018년107-1372019년82-9152020년20823-6,48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