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도달시간은 강우에 의한 배수유역의 유출반응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매개변수이며 홍수량 산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이므로 산정에 신중을 기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도달시간은 유입시간과 유하시간의 합으로 계산한다. 홍수도달시간(유하시간) 산정은 현재시점 및 목표연도를 구분하여 적절한 공식을 적용하고 도달시간 산정과 유속 산정 결과로 산정된 도달시간의 적정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유입시간에 대한 기준이 아직까지는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므로 기존 「하천시설기준(건설부, 1993)」에서 제시된 바 있는 산지유역은 30분, 급경사유역은 20분 등의 기준과 Kerby 공식, SCS 공식 등을 적용한 후 적정한 값을 채택하여야 한다. 도달시간(유하시간)은 「방재조절지 설계지침 개발(I)」, (국립방재연구소, 1997)..
수문곡선의 시간 기준 직접 유출수문곡선 및 단위 수문곡선 관련된 세 가지 시간 변수가 있습니다. 수문곡선의 시간 기준은 직접 유출 수문곡선 또는 단위 수문곡선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시간으로 간주됩니다. 지체시간 지체시간 또는 유역 지체는 강우 초과량의 질량 중심과 유출량의 질량중심(또는 최대 유량) 사이의 시간 차이로 정의되는 기본 시간매개변수 입니다. 강우량과 수문곡선 사이의 다른 많은 시간 간격을 지체라고 합니다. 도달시간(집중시간) 도달시간이라고 말하는 집중시간은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됩니다. 최대 유량 평가에서 더 중요한 유역의 물리적 특성 측면에서, 유역에서 수리학적으로 가장 먼 지잠에서 유출 위치까지 물 입자의 이동 시간으로 정의됩니다. 강우량 및 수문곡선 특성을 기반으로 강우량 초과가 끝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