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입 설계홍수의 계산절차1. 설계홍수의 규모결정댐의 설계홍수 규모는 댐 건설비(cost)와 댐 하류의 인명 및 재산에 대한 안정성(safety)을 상대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한다.여수로나 댐 마루표고를 설계하기 위한 대상 홍수의 크기는 댐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을 가급적 최소화하면서 댐의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크기로 한다.댐의 파괴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막대하므로 PMF를 설계홍수로 채택하며, 소규모댐도 피해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에는 PMF 혹은 50% PMF이상을 택해야 한다.가배수시설이나 소규모 구조물은 빈도홍수를 설계대상 홍수로 채택할 수도 있으나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2. 설계홍수의 계산저수지로의 유입 설계홍수의 규모가 결정되면 그 규모에 상응하는 여러 지속시간별 설계강우를..
강수량 P는 처음에 지표면에 떨어지고, 함몰 저장소를 채우거나 침투하여 토양수분과 얕은 지하수가 되거나 유입되는 하천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증발 E는 실제로 강우가 지속되는 기간에는 영향이 미미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물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함몰 저장 용량은 일반적으로 강우 초기에 충족된 후 토양으로의 침투 용량이 뒤따르게 됩니다. 결국 토양 저장과 함몰 저장 용량이 충족된 이후 육로 흐름과 지표유출이 시작됩니다. 지표수에 의한 흐름은 가장 가까운 작은 개울이나 수로를 향해 빠르게 하강하여 다음 큰 하천으로 흐르고, 결국 개수로 흐름으로 본류 수로에 도달합니다. 하천 단면에서 측정된 유량과 시간의 그래프인 수문곡선은 주로 다양한 기여 흐름으로 구성됩니다. 기본 흐름도에 기여할 수 있으며 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