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역특성조사는 유역의 개략적인 특성을 총괄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유역 및 소하천특성에 따른 강우-유출 관계, 유출특성, 홍수특성 등을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조사이다. 2. 이러한 조사를 통하여 획득된 각종 유역특성인자를 이용하여, 다른 소하천 유역과의 비교는 물론 유역의 지형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3. 유역의 지정학적 특성인자들은 유출수문곡선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친다. 유역 면적은 유출량 및 유출 용적의 크기에, 유역 경사는 유출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토지이용 및 식생피복 상태는 강우손실 및 유출 속도를 지배하게 된다. 4. 유역의 유출계산을 위해서는 해당 유역의 면적, 유역경사, 유로길이 등의 유역형상 특성 자료와 소하천형태, 유역의 식생, 피복 등의 토지이용 실태 등을 조사하는 작업이 선행되..
수문학은 지표수와 지하수의 발생, 순환, 저장, 분배를 다루는 학문입니다. 지표수와 지하수의 저장 및 분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수문학의 영역에는 자연 및 인위적인 환경에서의 물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반응이 포함됩니다. 수문 순환의 복잡한 특성과 날씨 입력 및 기후패턴, 토양 유형, 지형, 지형학 및 기타 관련요인과의 관계로 인해 수문학과 다른 지구 과학(예 : 기상학, 지질학, 해양학, 생태학) 간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수문학 연구에는 전통적인 유체 역학, 및 수자원 공학의 주제도 포함됩니다. 또한 현대의 많은 수문학적 문제에는 수질과 오염 물질 이동에 대한 고려사항이 포함됩니다. 수문순환은 수면과 해양에서 물이 증발하여 습한 기단이 되어 내륙으로 이동하고 올바른 수직 상승 조건이 ..
강우 또는 초과강우로 인한 직접 유출수 초과강우에 대한 정보는 수문분석에 필요합니다. 즉각적인 하천 흐름에 기여하는 직접 유출 또는 초과 강우는 단기 증발산이 없거나 증발산을 위해 조정된 경우 강우에서 침투량을 제외하고 평가합니다. 초기 수분 함량이 균일한 균질 토양 기둥이라는 간단한 모델을 고려합니다. 침투에는 세 가지의 경우가 있습니다. 강우강도 i가 포화 포화침투능 Ks보다 작을 때 모든 강우가 침투합니다. 포화침투능 보다 큰 강우량(i > Ks)의 영향은 곡선II로 표시됩니다. 처음에 물은 적용 속도로 침투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토양의 물을 침투하는 용량이 강우량 아래로 떨어집니다. 표면에 저류가 시작되어 요면저류 및 유출이 발생합니다. 강우강도가 처음부터 토양의 물 침투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