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역특성조사는 유역의 개략적인 특성을 총괄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유역 및 소하천특성에 따른 강우-유출 관계, 유출특성, 홍수특성 등을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조사이다. 2. 이러한 조사를 통하여 획득된 각종 유역특성인자를 이용하여, 다른 소하천 유역과의 비교는 물론 유역의 지형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3. 유역의 지정학적 특성인자들은 유출수문곡선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친다. 유역 면적은 유출량 및 유출 용적의 크기에, 유역 경사는 유출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토지이용 및 식생피복 상태는 강우손실 및 유출 속도를 지배하게 된다. 4. 유역의 유출계산을 위해서는 해당 유역의 면적, 유역경사, 유로길이 등의 유역형상 특성 자료와 소하천형태, 유역의 식생, 피복 등의 토지이용 실태 등을 조사하는 작업이 선행되..
1. 행정 현황 1) 행정 현황에는 지역 연혁, 행정구역 현황 등을 기술한다. 2) 지역 연혁은 대상 지역의 방재연혁을 최대한 조사하여 수록한다. 3) 행정구역 현황은 행정구역 위치를 극점, 지명, 경도와 위도 등을 이용하여 기술하고, 행정구역 구성을 읍·면·동별 통·리·반의 구성, 면적 등을 나타내고 도면에 제시한다. 2. 인문 현황 1) 인문 현황에는 인구 현황, 산업 현황, 문화재 현황 등을 기술하며 재해취약성과 위험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위치도와 목록을 함께 작성하여 재해취약성 분석에 활용한다. 2) 인구 현황은 행정구역별 변억, 가구 수, 인구수, 인구밀도, 안전취약계측(만 13세 미만의 어린이, 만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재해 취약 인구 비율, 안전취약계층 인구밀도, 인구변화 현황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