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유출과 직접유출을 분리는 두 가지 일반적인 접근 방식이 있습니다. 첫 번째 접근 방식은 곡선의 마지막 부분이 기저유출에 대한 것이므로 감수곡선 방정식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접근법을 사용하면 원하는 경우 중간 흐름도 분리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접근 방식은 임의적인 성격입니다. 두 번째 접근법에는 많은 기법이 있습니다. 감수곡선 접근 방식에 의한 분리 하천관측소의 데이터가 기저유량만 반영하는 비가 내리지 않는 기간에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동일한 값의 여러 시간 간격을 선택하여 단위 시간으로 간주합니다.각 간격의 시작 시점의 유량은 Q0과 유사하고 각 간격 끝 시점의 유량은 Q1과 유사합니다. 선택한 다양한 간격에 해당하는 Q0대 Q1의 값은 일반 그래프(격자) 용지에 그려집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