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문곡선 분리

반응형

기저유출과 직접유출을 분리는 두 가지 일반적인 접근 방식이 있습니다. 첫 번째 접근 방식은 곡선의 마지막 부분이 기저유출에 대한 것이므로 감수곡선 방정식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접근법을 사용하면 원하는 경우 중간 흐름도 분리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접근 방식은 임의적인 성격입니다. 두 번째 접근법에는 많은 기법이 있습니다.

 

감수곡선 접근 방식에 의한 분리

하천관측소의 데이터가 기저유량만 반영하는 비가 내리지 않는 기간에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동일한 값의 여러 시간 간격을 선택하여 단위 시간으로 간주합니다.각 간격의 시작 시점의 유량은 Q0과 유사하고 각 간격 끝 시점의 유량은 Q1과 유사합니다. 선택한 다양한 간격에 해당하는 Q0대 Q1의 값은 일반 그래프(격자) 용지에 그려집니다. 이 점들의 직선이 그래프로 그려집니다. 직선의 기울기는 Q1 / Q0 = K 입니다. 방정식을 알고 나면 직접 유출 수문곡선 그래프의 시작점에서 Q로 시작하여 선택한  시간을 단위 시간으로 하여 감수 곡선을 그립니다.

 

감수곡선 접근법에 의한 기저유량 분리

 

그러나, 일반적으로 분리 작접은 건기 하천 흐름 기록 없이 수행해야 합니다. 수문그래프는 세미로그 용지에 그려지며 Y축에는 방류값의 로그가, X축에는 해당 시간이 표시됩니다. 로그 형태는 직선이므로 수문곡선 꼬리 부분은 수문곡선 아래에서 직선으로 F에서 다시 연장되어 강우 변곡점 E 바로 아래지점 O까지 이어진 다음 지점 O가 직접유출이 시작되는 지점 B에서 합류합니다. 지점 B는 유출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임의로 선택됩니다. 선 BOF 아래 영역은 지하수 흐름의 근사치 입니다.

반응형

임의 점근법에 의한 분리

감수곡선 접근법에 의한 분리 방법은 근사치이며 하천에 혼합된 직접흐름과 기저흐름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명확한 근거가 없으므로 다른 많은 근사치 절차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기저흐름의 분리와 관련된 부정확성은 일반적으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기저흐름 분리 방법

 

미 육군 공병단 HEC-1 모델에서 하강 지점의 기저흐름 후퇴 지점은 첨두 흐름에 대한 비율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즉, 후퇴 지점은 하장 지점의 방류가 피크 방류의 0.1로 떨어질 때 입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