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재해 취약성 분석 지표현재 기후노출 지표는 기후변화 재해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기후요소를 도출기상관측소별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장기간 기상관측자료(기온, 강수량 등)활용현재 도시민감도 지표는 잠재취약지역, 도시취약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해유형별 취약한 지역 및 대상 파악이 가능한 위치기반의 지표 위주로 선정잠재취약지역 지표는 재해 유형별 최근 10년간 피해발생지역, 법정 재해취약지구(자연재해위험지구, 방재지구, 산사태취약지역, 붕괴위험지역 등)와 같이 물리적으로 재해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의 위치(도면), 면적 자료 사용도시취약구성요소는 시민, 도시기반시설, 건축물 등 도시의 구조적인 재해 취약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구성시민 분석 지표는 최소공간범위 내 기후변화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재..
도시의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개념 및 절차1.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의 개념도시의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대상재해는 폭우(홍수·산사태), 폭염, 폭설, 강풍, 가뭄, 해수면 상승의 6개 재해로 구분함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은 IPCC(2007)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기후노출과 도시민감도를 고려하며, 지자체 내 최고 공간범위(인구센서스조사의 집계구, 보통 읍면동의 1/23 정도)에 대한 상대평가를 통해 재해취약지역 도출*IPCC(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전 지구적 위험을 평가하고 국제적 대책 마련을 위해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설립한 유엔 산하 국제협의체 기후노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