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개념 및 절차
- 자료실/수자원공학
- 2024. 11. 22. 09:48
반응형
도시의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개념 및 절차
1.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의 개념
- 도시의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대상재해는 폭우(홍수·산사태), 폭염, 폭설, 강풍, 가뭄, 해수면 상승의 6개 재해로 구분함
-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은 IPCC(2007)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기후노출과 도시민감도를 고려하며, 지자체 내 최고 공간범위(인구센서스조사의 집계구, 보통 읍면동의 1/23 정도)에 대한 상대평가를 통해 재해취약지역 도출
*IPCC(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전 지구적 위험을 평가하고 국제적 대책 마련을 위해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설립한 유엔 산하 국제협의체
- 기후노출은 기후변화 재해를 유발하는 기온, 강수량 등과 같은 기후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나타냄
- 도시민감도는 기후변화 재해에 따른 도시의 물리적 취약특성과 도시구성요소(시민, 기반시설, 건축물)의 부정적 영향을 의미함
*기후노출 및 도시민감도에 따른 잠재적 재해취약성을 상쇄시키는 합리적인 적응능력지표를 도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재해 영향을 왜곡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안전율 측면에서 본 매뉴얼에서는 고려하지 않음
- 재해취약성은 I - IV 등급으로 등급화하고, I 등급이 재해에 가장 취약한 지역이며, 재해취약지역은 I, II등급 지역을 의미함
반응형
2.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의 구조
- 본 매뉴얼에서는 도시의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을 현재 취약성, 미래 취약성, 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으로 구분
- 현재 취약성은 과거부터 현재(보통 30년)까지의 기상 관측치에 의한 현재 기후노출과 현재의 잠재취약지역과 도시취약구성요소를 중첩한 도시민감도로 나타냄
- 미래 취약성은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기반 시나리오)에 의한 미래 기후노출과 미래의 도시개발 전망 등을 반영한 도시민감도로 나타냄
- 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은 현재 취약성과 미래 취약성 분석에 따른 새로운 취약지역을 고려하며, 현장조사 및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 결과 최종 확정된 재해 취약성으로 나타냄
*중첩이란 재해 취약성 분석지표값(기후노출, 도시민감도 등)의 표준화를 통해 최종 재해 취약성지수를 계산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
3.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의 절차
① 지자체 재해 피해현황 분석
- 피해지점, 피해액, 인명피해(사망, 부상 등) 등 지자체 피해현황 조사(최근 10년 이상) 및 특성분석, 연도별 추이분석 등을 통해 지자체의 재해발생특성 파악
- 재해피해액 등의 자료가 없는 재해에 대해서는 기상특보 발효횟수, 운반 및 제한급수 등 간접지표자료를 활용하여 재해연황 조사 및 특성분석
② 취약성 분석 대상 재해유형 선정
- 지자체 재해 피해현황 분석 결과, 지역의 이해관계자(관련 공무원, 주민),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통해 지자체의 분석대상 재해유형 선정
- 폭우재해는 우리나라 기상특성을 고려할 때 매년 전국적으로 발생하므로 모든 지자체에서 분석대상 재해로 선정하고, 해수면 상승은 해안을 포함하는 지자체에서는 반드시 분석대상 재해로 선정하는 것을 권고
③ 대상재해별, 지표별 관련 DB 구축
- 매뉴얼에서 제시하는 대상재해 유형별 취약성 분석지표에 대해 지자체, 관련 DB생산·관리기관 등의 협조를 통해 DB 구축
④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 현재 기후노출 및 도시민감도 분석결과를 중첩 및 등급화하여 현재의 재해취약지역 도출
- 미래 기후노출 및 도시민감도 분석결과를 중첩 및 등급화하여 미래의 새로운 예상 재해취약지역 도출
- 현재 취약성 분석 결과와 미래의 예상 재해취약지역을 중첩하여 종합 재해 취약성(안) 제시
⑤ 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
- 현장조사 및 공간분석, 지역 이해관계자(관련 공무원, 전문가, 주민 등)의 의견 등을 수렴하여 종합 재해 취약성(안)에 나타난 재해 취약성 등급 조정 과정을 거쳐 지자체의 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을 확정
⑥ 도시계획 수립방향 제시
- 재해취약지역 및 주변지역에 대한 현장여건, 지역특성 등을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기반시설계획, 방재계획 등 도시계획의 부문별 계획의 대응방향 제시
- 재해 취약성 등급을 고려하여 토지이용 제한, 도시계획시설 설치 제한, 건축물 설치 제한, 도시계획시설 및 건축물 활용, 방재시설(하천, 하수도 등) 강화 등 제시
출처 :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매뉴얼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재해 취약성 분석 지표 (0) | 2024.11.25 |
---|---|
현재 재해 취약성 분석 지표 (0) | 2024.11.25 |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매뉴얼의 개요 (0) | 2024.11.18 |
댐 조사계획의 수립 (0) | 2024.11.18 |
관로시설 설계기준 관의 종류와 단면 (0)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