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영향평가 강우량자료 수집 (1) 수집 대상은 10분, 60분, 고정시간 2~24시간(1시간 간격)의 지속기간에 대한 연최대치 강우량 자료이다. (2) 고정시간 강우량 자료는 환산계수를 적용하여 임의시간 강우량 자료로 환산하여 사용한다. 소규모 유역은 도달시간이 짧기 때문에 강우 분석 측면에서는 짧은 지속기간의 강우량 자료가 중요하지만 현재 장기간 자료 수집이 가능한 임의시간 강우량 자료는 10분 및 60분 뿐인 상황이다. 임의시간 20분, 30분 강우량 자료는 장기간의 정확한 자료 획득이 곤란한 점, 이를 추가한 강우강도식의 형태가 자연스럽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점, 홍수량 산정시 초기손실 영향 때문에 임계지속기간이 대부분 60분 이상으로 결정되므로 중요한 강우지속기간이 아닌점 등의 이유로 ..
(1) 강우량 자료는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 및 유관기관(기상청, 환경부,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을 통해 취득할 수 있으며, WAMIS에서 제공하고 있는 표준지점 번호를 사용하여 구축한다. (2) 보통의 자료특성을 벗어난 기록치를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이상치 대상을 확인하여 검·보정한다. 지속기간별 연최대강우량을 구축하고, 임의시간 강우량 자료로 변환한다. 강우관측소 선정 해당 유역과의 거리, 시우량 관측년수, 관측소의 밀도 및 분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강우관측소를 선정한다. 기상청(AWS 포함), 환경부(홍수통제소),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과 같은 우량관측소 관할기관 등이 있으며 실시간 우량자료 및 관측소 제원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연최대치 강우량 자료는 지속기간별로 10분, 60분 및 1시간 ~ 24시간(24개 지속시간)의 자료를 수집하여야 한다. 강우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임의시간 강우량자료이어야 하며, 임의시간 강우량자료의 수집이 곤란한 경우에는 고정시간 강우량자료를 「하천설계기준」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환산계수를 적용하여 임의시간 강우량자료로 변환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홍수량 산정시 첨두홍수량 또는 첨두저수위(첨두방류량)가 최대가 되는 강우지속기간인 임계지속기간(Critical Duration) 개념이 도입되므로, 연최대치 강우량 자료는 10분 60분 및 1시간 ~ 24시간까지(24개 시간) 등의 지속기간별로 수집하여야 한다. 수문학적 지속기간은 고정시간이 아닌 임의시간을 의미하며, 임의시간 연최대치 강우량자료는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