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 분석방법현재 재해 취약성을 중심으로 미래 취약성 분석에 따른 새로운 재해취약지역(I, II등급)을 중첩하여 종합 재해 취약성(안) 작성종합 재해 취약성(안)에 대한 현장조사 및 관련 전문가, 공무원, 주민 등의 의견수렴을 통해 필요시 등급 조정을 검토하여 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 확정- ArcGIS에서 각 주제도를 중첩하여 현재와 미래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안)을 마련한 후 현장조사 및 지역의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통해 필요시 재해취약지역 등급을 조정 출처 :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매뉴얼
미래 재해 취약성 분석방법1. 미래 기후노출미래 기후노출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전망치를 활용하여 미래 기후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분석ArcGIS Spatial Analyst의 Zonal Tool을 활용하여 최소 공간범위별 기후노출 평균값을 추출하고, 자연적 구분법(Jenks의 최적화 방법)으로 등급화(I~IV) 함 - 기상청 기후변화정보센터에서 제공하는 남한상세(해상도 1km)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 자료 요청시 시나리오는 RCP8.5를 선택하고, 자료의 기간은 현재부터 2100년 까지이며, 자료의 형태는 ESRI ASCII GRID 이며, 미래의 기후노출 분석에 필요한 자료의 목록을 체크하고, 활용계획서를 작성한 후 다운로드하여 가공 분석-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는 ..
도시민감도 분석 지표 자료출처 및 구축방법현재 잠재취약지역 분석 지표는 재해별 최근 10년간 피해지역이나 물리적으로 재해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저지대, 급경사지 등)의 위치 및 면적 자료 구축폭우의 경우 풍수해저감종합계획, 하천기본계획 등 방재관련계획이나, 자연재해위험지구, 방재지구 등 법정 재해 취약지구 현황을 조사하여 DB 구축폭염의 경우 인공위성영상 검색서비스(USGS)에서 제공하는 Landsat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일정 온도 이상의 지역을 잠재취약지역으로 설정폭설의 경우 급경사(34º 이상)지역, 가뭄은 광역상수도 미급수지역, 강풍과 해수면상승은 각각 해안변 500m 이내 지역과 10m 이하 저지대 지역에 대한 GIS 데이터(DEM 자료) 분석을 통해 DB 구축* 최근 10년간 피해지역은..
1. 기초 공간 분석 유역 단위를 선발·추출하기 위해서는 지리정보체계(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식과 수치지형도를 분석하여 계류를 중심으로 능선간의 연결로 유역을 구분하는 방식 등으로 다양함 지리정보체계(GIS) 프로그램을 활용한 유역분석은 주로 ArcGIS, Qgis, Global Mapper 등 다양한 유·무료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음 기초 공간 분석을 위한 면적범위는 사업계획부지 반경 1Km 이상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 1) 불규칙삼각망(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IN) 생성 불규칙 삼각망 자료는 수치 지면 자료를 이용하여 불규칙삼각망을 구성 및 제작한 3차원 자료를 말하며, TIN을 활용하여 특정 지점에서 고..